24
-1- 한자 특강 학습 목표 * 한자의 구성원리를 이해한다 1. . 한자의 음과 뜻을 짐작하는 방법을 익힌다 2. . 한자어와 중국어 한국어의 관련성을 이해한다 3. , . 본 강의는 대학국어 교재의 한자어 부분을 학습하기 위한 기초지식을 제공하는 데 기본적인 목적이 있다 따라서 익혀야 할 한자들을 전부 제시하고 풀이를 하는 등의 본격적 . 인 한자학습은 교재를 통해 할 수 있으리라 판단하고 한자 및 한자어를 대할 때 고려해야 , 할 사항들을 몇 가지 제시하였다 본 강의의 내용을 공부한 이후에는 교재를 통해 실제 한 . 자 및 한자어 어휘를 익힐 수 있도록 하기 바란다. 강의 구성 * 한자의 기원 (1) 사전찾기와 한자쓰기 (2) 한자의 구성원리 육서 (3) - ( ) 六書 상형자와 지사자 (4) 회의자 (5) 형성자 (6) 부수의 변형과 부수의 뜻 (7) 이음이의자 (8) ( ) 異音異義字 모양이 비슷한 한자 (9) 중국의 문자인 한자 (10) 한자와 한국어 (11) 한자성어 의 기능과 활용 (12) ( ) 漢字成語 본 인쇄자료는 클래스의 대학국어 강좌 중 강 한자의 기초 동영상강의 내용을 원 CTL 6 고로 작성한 것입니다. 동영상 강좌와 원고의 내용이 조금 다를 수 있으니 양해바랍니다.

한자특강 - Seoul National Universityctl.snu.ac.kr/ctlclass/univ2/pdf/ch6.pdf(12) ( )한자성어 의기능과활용漢字成語 본인쇄자료는 클래스의대학국어강좌중

  • Upload
    others

  • View
    7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 1 -

    한자 특강

    학습 목표*

    한자의 구성원리를 이해한다1. .

    한자의 음과 뜻을 짐작하는 방법을 익힌다2. .

    한자어와 중국어 한국어의 관련성을 이해한다3. , .

    본 강의는 대학국어 교재의 한자어 부분을 학습하기 위한 기초지식을 제공하는 데☞ 『 』

    기본적인 목적이 있다 따라서 익혀야 할 한자들을 전부 제시하고 풀이를 하는 등의 본격적.

    인 한자학습은 교재를 통해 할 수 있으리라 판단하고 한자 및 한자어를 대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몇 가지 제시하였다 본 강의의 내용을 공부한 이후에는 교재를 통해 실제 한.

    자 및 한자어 어휘를 익힐 수 있도록 하기 바란다.

    강의 구성*

    한자의 기원(1)

    사전찾기와 한자쓰기(2)

    한자의 구성원리 육서(3) - ( )六書

    상형자와 지사자(4)

    회의자(5)

    형성자(6)

    부수의 변형과 부수의 뜻(7)

    이음이의자(8) ( )異音異義字

    모양이 비슷한 한자(9)

    중국의 문자인 한자(10)

    한자와 한국어(11)

    한자성어 의 기능과 활용(12) ( )漢字成語

    본 인쇄자료는 클래스의 대학국어 강좌 중 강 한자의 기초 동영상강의 내용을 원CTL 6

    고로 작성한 것입니다.

    동영상 강좌와 원고의 내용이 조금 다를 수 있으니 양해바랍니다.

  • - 2 -

    한자의 기원(1)

    한자는 누가 언제 만들었을까요- ?

    후한 의 허신 이 쓴 설문해자 에는 황제 의 사관 이( ) ( ) ( ) ( ) ( )後漢 許愼 說文解字 黃帝 史官☞ 『 』

    었던 창힐 이 새와 짐승의 발자국을 관찰하고서 처음 한자를 만들었다고 기록되어 있( )倉頡

    습니다 그렇지만 창힐은 눈이 네 개나 있는 인물이었다고 전하는 데서 알 수 있듯이 전설.

    상의 문화영웅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듯하며 창힐의 한자창제설 역시 역사적 사실이라고,

    하기는 어려울 듯합니다.

    고고학 발굴을 통해 밝혀진 바에 의하면 신석기시대에 원시한자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

    되는 부호 혹은 기호들이 사용된 흔적이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부호나 기호들이 오랜 기간.

    을 거치면서 한자로 정착되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인데 한 개인이 특정한 시기에 이러한 작,

    업을 모두 했다고 말하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필요에 따라 여러 지역과 여러 시대의 인물들.

    이 한자를 만들었다고 하는 것이 타당할 것입니다 즉 어떤 의미로는 한자를 사용하는 사람.

    들 모두가 한자의 창제자인 셈입니다 중국 뿐 아니라 한국이나 일본 베트남에서도 한자를. ,

    사용한 사람들이 자신들의 필요에 따라 새로운 한자를 만들어서 사용한 흔적이 남게 된 것

    입니다 그리고 그 결과 한자의 수도 점차 늘어났을 것입니다. .

    한자는 모두 몇 자일까요- ?

    한자의 수를 정확히 알 수는 없습니다 수록한 한자수가 가장 많은 사전의 경우 대략.☞

    여자 정도를 수록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많이 사용되는 사전의 수록한자수는85,000 .

    이보다 더 적습니다 일본에서 출판된 대한화사전 에는 자 한국에서 출. ( ) 48,902 ,大漢和辭典

    판된 명문한한대자전 에는 자 대만에서 출판된 중문대사전( ) 51,853 , (明文漢韓大字典 中文大辭

    에는 자 그리고 중국에서 나온 한어대자전 에는 자가 수록되어) 49,905 , ( ) 54,665典 漢語大字典

    있습니다 이들 사전이 방대한 양을 수록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 많이 사용되는 한자의 수. ,

    는 이보다 훨씬 적습니다 실제 사용되는 한자의 수는 대략 만자 내외라고 알려져 있습니. 1

    다 또 현대의 언어생활에서 활용되는 한자의 수는 이보다 적어서 국한혼용 고전을 불편. “

    없이 읽고 공부할 수 있는 수준 으로 규정된 한국의 한자능력검증시험 급의 수준이 읽기, ” 1

    자와 쓰기 자로 되어 있습니다3,500 2,000 .

    사전마다 수록한 한자의 수가 다른 근본적인 이유는 사전의 성격 차이에서 찾을 수 있겠

    지만 시대별 지역별로 새로운 한자를 만들어내고 또 이체자 같은 한자를 다른 모양, ( :異體字

    으로 쓰는 것 를 많이 사용했다는 점도 한자수가 많아진 원인 가운데 무시할 수 없는 부분)

    일 것입니다 오늘날 중국에서는 간자 를 일본에서는 약자 를 많이 사용하고 있. ( ) , ( )簡字 略字

    는데 이 간자나 약자들 가운데는 과거에 사용하던 이체자를 활용한 것들이 많습니다 특히, .

    중국의 간자와 일본의 약자는 이들 국가와의 교류를 위해 알아둘 필요가 있을 것입니다 교.

    재의 한자어익히기에 실려 있는 의 부분에는 이러한 간자와 약자의 예가 일‘ ’ ‘ ’韓中日 漢字

    부 제시되어 있으므로 참고하기 바랍니다, .

    한자는 지금도 만들 수 있을까요- ?

    원칙적으로는 새로운 사물이 나타나거나 새로운 개념을 표현하고자 하면 새로운 한자☞

    를 만들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새로운 사물이나 개념이 많이 나타나는 현대에 이.

  • - 3 -

    처럼 새로운 한자를 만들어낸다면 한자의 수는 엄청나게 불어날 것입니다 이것은 기존의.

    한자도 간략하게 하고자 하는 추세에 어긋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 예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오늘날에는 중국에서도 한자어 를 만들어서, ( )漢字語

    사용할 뿐 새로 한자를 만드는 일은 드뭅니다 예컨대 코카콜라라는 새로운 사물이 나타났. ‘ ’

    을 때 그에 해당하는 새로운 한자를 만드는 대신 그 음을 표기하는 과 같은 한자‘ ’可口可樂

    어를 만들었던 것입니다 물론 이런 방식은 과거에도 활용된 바 있습니다 중국에서 불교를. .

    받아들이면서 인도에서 사용되던 불교관련용어들을 음차 해서 사용했던 것이 그 좋은( )音借

    예가 될 것입니다 이러한 방식의 활용도가 오늘날 좀더 높아진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입니.

    다.

  • - 4 -

    사전찾기와 한자쓰기(2)

    사전에서 한자를 찾는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

    사전에서 한자를 찾는 방법에는 크게 세 가지가 있습니다 부수로 찾는 방법 음으로. ,☞

    찾는 방법 총획으로 찾는 방법이 그것입니다 전자사전이나 워드프로세서, . (word

    프로그램 등의 한자검색 혹은 입력 방식도 이와 같은 세 가지 방법을 응용한processor)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세 가지 방법을 염두에 두고 몇 개의 한자를 사전 및 전자사전을.

    통해 검색하고 입력하는 연습을 직접 해 보기 바랍니다.

    부수로 찾는 방법은 가장 기본적인 방법입니다 모든 한자사전에는 부수표가 있는데 우선.

    이 부수표에서 찾고자 하는 한자의 부수를 짐작합니다 다음에는 부수를 제외한 나머지 부.

    분의 획수를 확인합니다 그리고 해당 부수의 해당 획수로 글자를 찾게 됩니다 예를 들어. .

    자를 찾으려고 한다고 가정합시다 이 글자의 부수는 입니다 나머지 글자는 획입니‘ ’ . ‘ ’ . 3安 宀다 이제 부 획을 찾아서 그 가운데 자를 찾아봅니다. ‘ ’ 3 ‘ ’ .安宀음으로 찾는 방법은 한자의 음을 짐작할 수 있을 때 사용하게 됩니다 한국에서 출판된.

    한자사전에는 보통 부록 부분에 자음색인이 있습니다 가나다 순으로 배열된 이 색인에서‘ ’ .

    해당한자의 수록면수를 확인하고 본문에서 글자를 찾을 수 있습니다 예컨대 자에서 안. ‘ ’ ‘ ’安

    이라는 음을 알고 있고 정확한 뜻을 모른다면 자음색인의 안 항목을 찾아서 그 가운데, ‘ ’ ‘ ’

    자가 사전의 몇 면에 실려 있는지를 확인합니다 그런 뒤에 해당 면을 찾아서 뜻을 확인‘ ’ .安

    하는 것입니다.

    총획으로 찾는 방법은 글자 전체의 획수를 확인해서 한자를 찾는 것입니다 즉 한자사전.

    의 부록 부분에 있는 총획색인을 통해 글자의 수록면수를 확인해서 해당한자에 대한 설명‘ ’

    을 찾는 것입니다 예컨대 자는 전체 획으로 되어 있으므로 총획색인의 획 항목에서. ‘ ’ 6 6安

    이 글자의 수록면수를 확인하고 해당 면을 찾아서 음과 뜻 등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그런, .

    데 이 방법은 글자의 획수가 아주 적거나 아주 많은 경우가 아니면 찾기 힘든 것이 단점입

    니다.

    한자는 쓰는 순서가 정해져 있나요- ?

    한자는 글자에 따라 쓰는 순서가 정해져 있습니다 이것을 흔히 필순 혹은 획순. ( )筆順☞

    이라고 하는데 정확하고 맵시 있게 쓰기 위해 노력한 결과 하나의 관습으로 자리잡( ) ,劃順

    게 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위에서 아래로 쓴다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쓴다 가로 세로가. ‘ , ,

    겹칠 때는 가로를 먼저 쓴다 좌우가 대칭이면 가운데를 먼저 쓴다 둘러싸고 있는 획은 바, ,

    깥쪽을 먼저 쓴다 삐침 은 파임 보다 먼저 쓴다 꿰뚫는 획 은 나중에 쓴다 책받, ( ) ( ) , ( ) ,丿 乀 丨침 은 나중에 쓴다 둘러싼 글자의 모양은 바깥쪽을 먼저 쓴다 글자의 전체를 꿰뚫는 가( ) , ,辶로획은 나중에 쓴다 정도가 대략적인 원칙이라고 알려져 있는데 이런 원칙은 약간의 예외’ ,

    가 있고 또 그대로 암기하는 것이 어떤 면에서는 오히려 비효율적이기도 합니다 기본적인.

    글자 몇 개를 직접 써 보는 것이 오히려 좋은 방법일 수도 있습니다.

    순서에 따라 한자를 써 봅시다- .

    우선 아래에 제시된 몇 개의 글자를 직접 필순을 지키면서 써서 익혀보도록 합시다.☞

    의 한자들을 필순에 따라 정확하게 쓸 수 있다면 위의 원칙을 어느 정도 체득한 것이라,①

  • - 5 -

    고 할 수 있습니다 는 특별한 경우라고 할 수 있는데 같은 모양인데도 두 글자의 첫째. ,②

    획과 둘째 획의 순서가 다릅니다 이것은 그 다음 획 즉 셋째 획이 가로획인지 세로획인지. ,

    가 같지 않기 때문에 달라진 것입니다 비슷한 모양인 나 자의 경우에도 첫획이 가. ‘ ’ ‘ ’有 友

    로획일지 혹은 세로획일지는 같은 원리에 따라 결정됩니다.

    / / / / / / /川 木 水 火 文 女 國 近①

    /左 右②

    이 부분에는 각 한자의 획순을 보여주는 그림이 필요합니다 가능하다면 네이버 한자(* .

    사전의 형식을 따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 6 -

    한자의 구성원리(3) - 六書

    한자는 어떤 원리에 따라 만들어졌나요- ?

    앞에서 한자를 누가 언제 만들었는지는 누구도 정확히 알 수 없다고 했습니다 그렇지.☞

    만 한자의 구성원리에 대해서는 오랜 세월 동안의 연구를 통해 어느 정도 윤곽이 드러났다

    고 할 수 있습니다 이 가운데 후한 의 학자 허신 이 설문해자 를. ( ) ( ) ( )後漢 許愼 說文解字『 』

    통해 제시한 한자가 만들어지는 여섯 가지의 원리 즉 육서 가 가장 체계적인 설명으‘ ’ ( )六書

    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허신은 진 나라 때의 자체 인 소전 등을 근거로 개별 한자들의 기원을 설명( ) ( ) ( )秦 字體 小篆

    하였는데 그 설명 방식은 크게 상형 지사 회의 형성 전주, ( ), ( ), ( ), ( ), ( ),象形 指事 會意 形聲 轉注

    가차 의 여섯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 가운데 상형 지사 회의 형성의 넷은 새로운( ) . , , ,假借

    글자를 만드는 원리라면 전주와 가차는 이미 만들어진 글자를 새로운 의미나 용도로 활용,

    하는 원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뒤에 다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단 전주( .

    와 가차는 새로운 글자를 만드는 원리는 아니기 때문에 더 이상 다루지 않겠습니다.)

    오늘날에는 갑골문 등 진나라 이전의 문자들이 대량 발굴되어서 설문해자 의( )甲骨文 『 』

    설명 가운데 잘못된 부분이 상당수 포함되어 있음이 밝혀졌지만 한자의 구성원리를 설명하,

    는 이론으로서의 육서의 의의는 그대로 인정되고 있습니다 다만 개별한자의 형성과정이나.

    어원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는 설문해자 의 설명을 그대로 받아들이기는 어려운 부분도『 』

    있습니다 한자의 자원 을 풀이한 서적의 상당수가 설문해자 를 바탕으로 하고 있. ( )字源 『 』

    는데 이 가운데 잘못된 것이 있을 수도 있다는 점은 알아둘 필요가 있습니다, .

    육서 는 글자마다 한 가지 원리만이 적용되나요- ( ) ?六書

    앞서 언급했듯이 설문해자 자체가 완벽한 것은 아니므로 특정한 한자가 육서 가,☞ 『 』

    운데 어느 한 가지 원리에 속한다고 단정 짓는 것은 위험합니다 새로운 자료가 발견된다면.

    다른 방식의 설명이 가능해질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이런 문제가 아니더라도 육서 자체가 엄격하게 나누어질 수 있는 것은 아니기 때

    문에 개별 글자가 반드시 어느 한 가지 원리에 의해 설명되어야만 한다고 주장할 수는 없,

    습니다 예를 들면 가난할 빈 은 뜻부분인 조개 패 재물의 뜻 와 음부분인 나눌. [ ] [ : ] [貧 貝 分

    분 이 합쳐서 이루어진 형성자라고 보통 설명합니다 그렇지만 음부분인 은 나눈다는 뜻] . ‘ ’分

    을 갖고 있으며 이것은 자의 뜻에 영향을 줍니다 이 경우 은 형성자이면서도 회의자의.貧 貧

    속성을 포함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설문해자 에서는 이와 같은 부류의 글자에 대해서도. 『 』

    설명하고 있지만 따로 한 가지의 원리로 독립시키지 않고 형성자에 포함시키고 있습니다, .

    이처럼 회의자와 형성자의 경계에 혹은 상형자와 지사자의 경계에 놓이는 글자들은 의외로

    많습니다.

    사실 한자 자체를 연구하는 것이 아니라 한자를 학습하는 것이 목적이라면 육서는 원리,

    를 이해하면 됩니다 즉 개별 글자가 어떤 원리에 의해 만들어졌는지를 암기할 필요는 없다.

    고 할 수 있습니다.

    육서 를 이해하면 어떤 이익이 있나요- ( ) ?六書

    육서를 이해하고 한자를 공부하게 되면 한자를 좀더 체계적으로 익힐 수 있습니다 단.☞

  • - 7 -

    순 암기로 배우고 기억할 수 있는 한자의 수는 얼마 되지 않지만 한자가 만들어지는 원리,

    를 이해하게 되면 보다 효과적으로 그리고 더 많은 수의 한자를 읽고 쓸 수 있게 됩니다.

    사실 몇 만자에 이르는 한자를 모두 정확히 암기 한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 .暗記

    그렇지만 기본적인 한자를 알고 있고 동시에 육서 의 원리를 이해하고 있다면 정확하( ) ,六書

    게 모르는 한자라 하더라도 그 음과 뜻을 짐작할 수 있게 됩니다.

    또한 어떤 한자가 가진 여러 가지의 뜻을 유추해낼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라는 한. ‘ ’理

    자를 단순히 암기한다면 이치 리라는 뜻 하나 정도만을 기억하게 됩니다 그렇지만 이 글‘ ’ .

    자가 과 마을 리 가 합쳐진 형성자라는 점을 생각할 수 있게 되면 옥을 다듬다(= ) [ ] , ‘王 玉 里

    다스리다 이치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의미를 짐작할 수 있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한자’ .→ →

    로 된 우리 어휘의 뜻을 짐작하는 데도 도움이 되기 때문에 결국 우리말 어휘력을 키우는,

    효과를 얻을 수도 있습니다.

    한편 부수적인 것이기는 하지만 한자를 좀더 재미있게 공부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도 있

    습니다 한자를 익히는 일은 어느 정도 지루한 것이 사실입니다 그렇지만 글자가 만들어진. .

    과정을 생각해 가면서 공부하게 되면 뜻밖의 재미를 발견할 수도 있습니다 많은 한자 학습.

    서들에서 육서 를 활용하고 있는 것은 어느 정도는 이러한 이유 때문이기도 합니다( ) .六書

  • - 8 -

    상형자 와 지사자(4) ( ) ( )象形字 指事字

    상형자는 무엇이며 어떤 글자가 여기에 포함되나요- ?

    상형 은 형태를 본뜬다는 뜻이므로 상형자는 어떤 물체의 형태의 특징을 파악하( ) ,象形☞

    고 그것을 옮긴 글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날해 일 이나 달 월 이 가장 대표적인 예. [ , ] [ ]日 月

    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자의 글자 형태 변화를 살펴보면 이런 글자들은 그림에 가까운 데. ,

    서 점차 오늘날의 형태로 변화되어 온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밖에 물고기 어. [ ],魚 貝

    조개 패 대나무 죽 산 산 등도 상형자의 예가 되는데 이 글자들 가운데에는 눈[ ], [ ], [ ] ,竹 山

    에 보이는 실체를 지닌 사물을 나타낸 것이 많음을 알 수 있습니다.

    지사자는 무엇이며 어떤 글자가 여기에 포함되나요- ?

    지사자 는 모양을 본뜰 수 없는 추상적인 개념을 나타내기 위해 상징적인 기호( )指事字☞

    를 단순화시킨 글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설문해자 에서는 눈으로 보아 식별할 수 있고. “『 』

    살펴서 그 뜻을 알 수 있는 것 이라고 풀이하고 있습니다 어떤 의미에서 지사자는 상형자” .

    로 표현하기 어려운 개념을 나타내기 위해 고안한 구성원리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上

    과 같이 수량이나 위치를 나타내는 글자들이 지사자의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 ,下 一 二 三

    있습니다.

    상형자와 지사자는 엄격하게 구분되나요- ?

    개념상 상형과 지사는 잘 구분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 글자에 있어서 이 둘을 정,☞

    확히 구분해 내기는 어려울 때가 있습니다 특히 지사자 가운데는 상형자의 속성을 포함한.

    글자들이 상당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구분이 상당히 어려울 때가 있습니다 흔히 합체지사, .

    라고 하는 글자들은 이미 존재하는 상형자를 바탕으로 기호적인 요소를 추가해서( )合體指事

    만들어지게 되는데 이런 글자들에는 상형의 요소가 분명히 포함됩니다 예를 들면 뿌리, . [ ,本

    근본 본 은 나무 목 에 아래부분을 표시하는 선을 추가함으로써 나무의 아랫부분을 나타] [ ]木

    내게 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끝 말 자도 또한 상형자인 에 위쪽 끝을 표시하는 선. [ ] ‘ ’末 木

    을 추가한 글자이므로 유사한 방식으로 성립된 글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

    그렇지만 단순히 한자를 공부하고자 한다면 이러한 구분을 얼마나 정확하게 할 수 있는,

    가는 생각보다는 큰 의미가 없을 듯합니다 사실 상형자나 지사자는 완전히 새로 만든 글자.

    라고 할 수 있으므로 대체로 기본자에 해당합니다 즉 글자 자체를 정확히 기억할 수 있도.

    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입니다 또한 몇 개의 부분으로 나누기 어렵고 따라서 글자를 모. ,

    를 경우 뜻을 짐작하기도 어렵다고 할 수 있습니다.

  • - 9 -

    회의자(5) ( )會意字

    회의자는 무엇입니까- ?

    회의 는 뜻을 모은다는 뜻인데 이미 만들어진 글자들을 합쳐서 새로운 글자를( ) ,會意☞

    만들되 구성부분이 된 원래의 글자들이 새로운 글자의 의미범주와 연관되는 경우를 가리킵

    니다 이 경우 회의자의 구성부분이 되는 원래의 글자들이란 주로 상형자나 지사자일 것입.

    니다 예를 하나 들어 보겠습니다 자는 과 말씀 언 을 합친 글자입니다 두. . ‘ ’ (= ) [ ] .信 人 言亻글자가 각각 의미범주와 연관되므로 사람의 말 혹은 사람이 말하다는 뜻을 생각할 수 있‘ ’ ‘ ’

    습니다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사람의 말은 미더워야 한다는 의미를 연결시킬 수 있. ‘ ’

    고 미덥다 믿다라는 글자의 뜻을 짐작할 수 있게 됩니다, ‘ ’, ‘ ’ . 자의 어원에 대해서는 여러(‘ ’言

    가지 설이 있지만 과 가 합쳐진 회의자라는 설명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 ’ ‘ ’辛 口

    다 이 설명을 받아들인다면 은 이라는 회의자가 성립되고 나서 거기에 다시 상형자. ‘ ’ ‘ ’信 言

    인 이 합쳐진 글자인 셈입니다‘ ’ .)人

    회의자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

    기본적인 한자 가운데 몇 가지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계집 녀 와 아들. : [ ] [好 女 子☞ ①

    자 가 합쳐진 글자입니다 원래 진나라 때의 글자형태를 보면 이 글자는 가 왼쪽에] . ‘ ’ ‘ ’子 女

    가 오른쪽에 있고 의 크기가 훨씬 작습니다 즉 어린 아이를 여자 즉 어머니가 안고 있‘ ’ .子

    는 모양입니다 여기서부터 좋아하다 좋다는 뜻이 나타나게 되었습니다 곡식을. ‘ ’, ‘ ’ . :秋②

    뜻하는 벼 화 와 불을 뜻하는 불 화 가 합쳐진 글자입니다 는 불을 쬐어서 말린[ ] [ ] . ‘ ’禾 火 火

    다는 뜻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그렇게 되면 는 곡식을 베어서 말리다 혹은 그렇게 곡, ‘ ’ .秋

    식을 말리는 때 계절 의 의미가 될 수 있습니다 해를 나타내는 날 일 과 달을 나( ) . : [ ]明 日③

    타내는 달 월 이 합쳐진 글자입니다 해와 달이 모두 밝으므로 밝다는 뜻이 되었습니다[ ] . .月

    이 글자에 대해 농담으로 해와 달이 함께 나타났으니 기상이변이라거나 새벽을 뜻한다고 풀

    이하는 경우도 있는데 그렇게 글자를 만들 수도 있겠지만 적어도 자를 만든 사람들은, ‘ ’明

    그렇게는 생각하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나무를 나타내는 나무 목 이 둘 합쳐져. : ‘ ’[ ]林 木④

    서 나무가 모여있는 숲을 뜻하는 글자가 되었습니다 회의자에는 이처럼 같은 글자를 합치.

    는 경우도 있습니다 빽빽할 삼 앞의 글자들보다는 조금 어려운 예이지만 이 셋. [ ]: , ‘ ’森 木⑤

    합쳐져서 나무가 아주 많다 즉 빽빽하다는 뜻을 갖게 된 글자입니다, .

    사전을 찾지 말고 다음 한자들의 뜻을 한번 짐작해 봅시다- .: 尖 糞 尿① ② ③

    회의자는 뜻 부분이 모여있기 때문에 이미 알고 있는 두 글자의 뜻을 합쳐서 새로운☞

    글자의 뜻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스스로 생각해서 글자의 뜻을 짐작해 낼 수 있다면 그 글.

    자를 오래 기억할 수 있고 또 나름대로의 재미도 있습니다 작을 소 와 클, . : [ ] [尖 小 大①

    대 가 합쳐진 글자입니다 두 부분으로 풀어놓고 보면 작으면서 크다 작아도 크다 크] . ‘ ’, ‘ ’, ‘

    기 정도의 의미를 짐작할 수 있는데 글자가 합쳐진 모양을 고려하면서 다시 살펴봅시다’ , .

    그러면 위는 작고 아래는 크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이것을 그림으로 그려본다면‘ ’ .

    삼각형이나 원뿔 같은 것을 상상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 글자는 뾰족하다는 뜻을 갖습니. ‘ ’

    다 끝이 뾰족한 탑을 뜻하는 첨탑 에서 이 글자가 쓰인 예를 찾을 수 있습니다. ‘ ( )’ .尖塔 ②

    쌀 미 와 다를 이 가 합쳐진 글자입니다 이 글자의 뜻을 짐작하라고 하면 대부: [ ] [ ] .糞 米 異

  • - 10 -

    분은 다른 쌀이라는 의미로 풀이해서 보리 기장 수수 밀 등 쌀 이외의 곡식 종류를 다‘ ’ , , ,

    거론하게 됩니다 그렇지만 이 글자를 풀이하기 위해서는 방법을 조금 바꿀 필요가 있습니.

    다 쌀이 달라지다 달라진 쌀 정도로 두 글자의 결합방식을 바꾸면 이 글자의 의미에. ‘ ’, ‘ ’ ,

    좀더 가깝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사람이 쌀 혹은 곡식 을 먹고 나면 배설을 하게 됩니다. ( ) .

    즉 이 글자는 똥이라는 뜻을 갖게 됩니다 이 글자는 똥 분자입니다‘ ’ . ‘ ’ . 자의 어원에 대(‘ ’糞

    해서는 다른 설명이 존재합니다 사람이 오물을 버리는 모양을 나타낸 것이라는 설명이 그.

    가운데 하나입니다 어느 쪽이 옳은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글자를 기억하기 위한 목적. ,

    에서라면 달라진 쌀 정도로 풀이하는 것도 나쁘지 않을 듯합니다‘ ’ .) 주검 시 와: [ ]尿 尸③

    물 수 가 합쳐진 글자입니다 는 원래 사람이 무릎을 굽히고 앉아 있는 모양을 본뜬[ ] . ‘ ’水 尸

    글자입니다 시동 을 뜻하는 경우도 있고 인체 와 관련된 뜻을 가질 때도 있습니. ( ) ( )尸童 人體

    다 이 글자의 경우 인체의 물 주검처럼 죽어 있는 물 정도의 풀이를 할 수 있겠는데. ‘ ’, ‘( ) ’ ,

    어느 쪽으로 해석해도 오줌이라는 의미에 접근할 수 있을 듯합니다 물론 전자의 해석이‘ ’ .

    현재까지 밝혀진 글자의 어원에 가깝기는 합니다 이 글자는 오줌 뇨자입니다. ‘ ’ .

  • - 11 -

    형성자(6) ( )形聲字

    형성자는 무엇입니까- ?

    회의자와 마찬가지로 이미 만들어진 글자를 합치되 한 쪽은 음을 다른 한 쪽은 뜻을, ,☞

    나타내도록 한 글자를 형성자라 합니다 즉 음부분과 뜻부분을 합침으로써 새로운 글자가.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형성자는 수가 가장 많아서 전체 한자의 정도를 차지한다고 알. 80%

    려져 있습니다 달리 말한다면 한자 가운데 정도는 음과 뜻에 대한 힌트를 글자에 포. , 80%

    함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는 것입니다.

    부수 를 다룰 때 다시 언급하겠지만 형성자에서 뜻부분에 해당하는 것은 해당 한자의 부‘ ’ ,

    수인 경우가 상당히 많습니다 즉 어떤 글자에서 부수를 짐작해서 알아낼 수 있다면 나머지.

    부분을 통해 글자의 음을 짐작할 수 있다는 뜻이 됩니다 자를 예로 들어서 한번 살펴봅. ‘ ’洋

    시다 이 글자는 와 양 양 이 합쳐진 글자입니다 이 가운데 가 부수임을 짐. (= ) [ ] . ‘ ’水 羊 水氵작해낼 수 있다면 글자의 음은 의 음과 가깝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은 큰바다 양이라, ‘ ’ . ‘ ’羊 洋

    는 것은 이런 과정을 거쳐 짐작할 수 있을 것입니다.

    형성자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

    상당수의 한자가 형성자라는 점은 앞의 설명을 통해 알 수 있었겠지만 실제 형성자를,☞

    공부할 때는 몇 가지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 이런 부분을 고려하면서 형성자의 예를 몇 가.

    지 거론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형성자 가운데 음부분의 음가가 그대로 유지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한자가 중국어를 표기하기 위한 문자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그 원인은 충. ,

    분히 짐작할 수 있을 것입니다 살 주 자는 부수이며 뜻부분인 과 음부분인. [ ] (= )住 人 主亻주인 주 가 합쳐진 형성자입니다 이 글자의 음은 음부분의 음인 주와 같습니다 반면에[ ] . ‘ ’ .

    강 하 자의 경우 부수이며 뜻부분인 와 음부분인 옳을 가 가 합쳐진 형성자입[ ] (= ) [ ]河 水 可氵니다 그렇지만 와 의 음은 다릅니다 물론 이 경우 음이 정확하게 같지는 않다 하더. ‘ ’ ‘ ’ .河 可

    라도 비슷한 음이 되기 때문에 음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실제의 글자를 살펴보면 음부분의 음이 새로 만들어진 한자 형성자 와 같지 않은 경우가( )

    상당히 많은데 이 경우에는 그 음부분의 글자가 나타내는 음이 대체로 몇 가지로 한정됩니,

    다 예를 들면 가 음부분인 형성자의 경우 도끼자루 가 처럼 글자의 음이 가인 것이. ‘ ’ [ ] ‘ ’可 柯

    있는가 하면 어찌 하 처럼 음이 하인 것도 있습니다 즉 형성자의 음을 짐작할 때는 뜻[ ] ‘ ’ .何

    부분 즉 부수 이 달라진 글자를 몇 자 떠올려 보고 그 가운데서 적당한 음을 골라내는 것[ ] ,

    이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예를 하나 들어보겠습니다 라는 한자어의 음. . ‘ ’侍女

    을 정확히 알 수 없다고 합시다 절 사 에 다른 부수자를 붙인 글자로는 때 시 나. ‘ [ ]’ [ ]寺 時

    시 시 를 떠올릴 수 있을 것입니다 라는 한자의 음은 시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할[ ] . ‘ ’ ‘ ’詩 侍

    수 있습니다 또 를 사녀가 아니라 시녀로 읽게 되면 문맥도 통할 것입니다 요컨대. ‘ ’ ‘ ’ ‘ ’ .侍女

    음부분을 통해 형성자의 음을 짐작하기 위해서는 음부분 글자의 음보다는 그 음부분 글자,

    에 다른 부수자를 붙인 글자의 음을 고려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물론 각(

    종 시험에서는 이러한 방법으로 잘 해결되지 않는 한자의 음을 묻는 경우가 상당히 많습니

    다 글자의 음을 쉽게 짐작할 수 없거나 잘못 짐작할 만한 것을 문제로 출제해야 점수 차이.

    가 나기 때문일 것입니다 또 한편으로는 쉽게 짐작하기 어려운 한자의 음을 기억하고 있다.

  • - 12 -

    는 것은 좀더 세심하게 한자를 공부했다는 뜻이 되기도 할 것입니다.)

    한편 육서 에 대한 설명에서 잠시 언급했지만 형성자 가운데는 회의자와 유사한 성( )六書

    격을 갖는 글자도 있다는 점도 기억해 둘 필요가 있습니다 한 예로 쌓일 전 자는 대체. [ ]戔

    로 형성자의 음부분으로 사용되어 천 전 잔 등의 음을 이끌게 되는 글자입니다 그렇‘ ’, ‘ ’, ‘ ’ .

    지만 이 글자는 없다 부족하다 등의 뜻을 새로 만들어진 글자에 넣기도 합니다 얕을‘ ’, ‘ ’ . [淺

    천 에 대해서는 물이 부족하다는 정도의 회의자식의 풀이도 가능하지만 뜻부분인] ‘ ’ (= )水氵와 음부분인 여기서는 천의 음을 갖게 함 을 합친 글자라는 형성자식의 풀이도 가능합[ ‘ ’ ]戔

    니다 천할 천 은 돈 는 재물 돈의 뜻을 갖습니다 이 부족하다는 회의자식 풀이가. [ ] ‘ [‘ ’ , .] ’賤 貝

    가능한 형성자입니다.

    몇 가지 한자를 통해 형성자의 음과 뜻을 짐작해 봅시다* .

    想 貨 聞 景 漁① ② ③ ④ ⑤

    서로 상 과 마음 심 이 합쳐진 글자입니다 이 부수일 것이므로 뜻부: [ ] [ ] .想 相 心 心☞ ①

    분입니다 그렇다면 글자의 음은 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서리 상 강이름 상 과. ‘ ’ . [ ], [ ]霜 湘

    같이 상이라는 음이 쓰인 글자들도 찾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즉 마음의 작용과 관련‘ ’ . 心

    되고 음이 상인 글자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런 과정을 거쳐 이 생각할 상이라는‘ ’ . ‘ ’想

    결론을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될 화 와 조개 패 가운데 가 부수입니다 그러므로 뜻이 즉 돈이나: [ ] [ ] ‘ ’ .貨 化 貝 貝 貝②

    재물과 관련이 되고 음이 화라고 예상할 수 있습니다 꽃 화 가 있으므로 화의 음을‘ ’ . [ ] ‘ ’花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재화 화자 임을 알 수 있습니다. ‘ ’ .

    문 문 과 입 구 가 합쳐진 글자입니다 두 자가 모두 많이 쓰이는 부수이기: [ ] [ ] .問 門 口③

    때문에 부수를 짐작하기 쉽지 않지만 이 경우 부수는 입니다 그렇다면 은 글자의, ‘ ’ . ‘ ’口 門

    음과 관련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문답 방문 같은 단어가 있으므로 물을 문임. ( ), ( ) ‘ ’問答 訪問

    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날 해 일 과 서울 경 이 합쳐진 글자인데 이 부수입니다 해가 있어야 경: [ , ] [ ] ‘ ’ .景 日 京 日④

    치를 볼 수 있습니다 이 음부분이므로 이 글자는 경치 경입니다 자의 경우 회의자. ‘ ’ ‘ ’ . ‘ ’京 景

    적인 성격을 가진다고 풀이하기도 합니다 자체가 언덕 위에 세운 궁전이나 집을 뜻하. ‘ ’ ‘ ’京

    는 말인데 이 의미가 자의 뜻과도 연관된다고 보는 것입니다 이 경우 해가 언덕 언덕‘ ’ . ‘ (景

    위의 궁전 에 비치다 빛에 의해 모양과 색이 뚜렷이 드러나다 빛이 비치는 경치 정도로) ’-‘ ’-‘ ’

    풀이할 수 있습니다.

    와 물고기 어 가 합쳐진 글자입니다 부수는 입니다 이 글자도 회의: (= ) [ ] . ‘ ’ .漁 水 魚 水⑤ 氵자의 성격을 갖고 있어서 두 글자의 뜻을 합치면 물에서 물고기를 잡다는 정도의 의미가, ‘ ’

    됩니다 글자의 음은 에서 찾을 수 있으므로 고기잡을 어가 됩니다 사실 이 글자의. ‘ ’ , ‘ ’ .魚

    경우에는 의미를 짐작하기가 쉽지는 않은데 그 때문인지 자와 구별하지 못하는 학생들, ‘ ’魚

    이 가끔 있습니다 이런 학생들은 어부를 한자로 쓰도록 하면 라고 쓰곤 합니다 물. ‘ ’ ‘ ’ . ‘魚父

    고기의 아버지가 물고기를 잡는 것은 조금 이상한 것 아닐까요 직업적인 어부 나’ ? ‘ ( )’漁夫

    낚시꾼 로 써야 합니다‘ ( )’ .漁父

  • - 13 -

    부수의 변형과 부수의 뜻(7)

    부수 란 무엇일까요- ( ) ?部首

    부수는 발음에 의해 배열할 수 없는 한자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배열하기 위한 방법,☞

    즉 사전류의 서적에서 한자를 배열하기 위한 방법으로 고안된 것입니다 주로 자형. ( )字形

    즉 글자의 모양을 기준으로 한자를 분류하였는데 공통된 모양들을 주로 같은 부류의 제일,

    앞에 내세웠습니다 즉 각 부류 의 첫글자 인 것입니다 이러한 분류법을 처음 사용. [ ] [ ] .部 首

    한 사람은 설문해자 를 쓴 허신으로 알려져 있는데 허신은 설문해자 에서 총 개, 540『 』 『 』

    의 부수를 설정하고 자의 한자를 여기에 배치해서 설명하였습니다 이후 사전류의 편9,353 .

    찬이 거듭 이루어지면서 부수의 수는 줄어들었습니다 명나라 때 개의 부수가 확립되고. 214

    청나라 때 강희자전 에서 이를 그대로 따랐으며 이 숫자가 오늘날의 한자사( ) ,康熙字典『 』

    전에서도 그대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부수는 왜 학습해야 할까요- ?

    사전에서 한자를 찾을 때 부수로 찾는 방법이 있음은 이미 앞에서 언급한 바 있습니☞

    다 이것이 가장 기본적인 이유일 것입니다 그렇지만 한자 학습에 있어 부수는 이보다 훨. .

    씬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예외가 있기는 하지만 부수는 글자의 뜻을 한정하는 역.

    할을 하는 예가 많다는 점이 그것입니다 즉 부수가 어떤 뜻을 가진다는 점을 알고 있다면.

    그 부수를 포함한 한자의 뜻을 어느 정도 짐작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또 같은 원리에서 형.

    성자의 경우에는 부수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글자의 음과 연관을 갖는다고 할 수 있습니

    다 앞서 살펴보았지만 육서 가운데 형성의 원리에 의해 만들어진 글자가 가장 많기 때문.

    에 잘 모르는 한자의 부수를 짐작할 수 있다면 그 글자에 대해 상당히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뜻이 되는 것입니다.

    부수는 모양이 늘 일정할까요- ?

    부수 가운데는 독립된 글자로 쓰일 때의 모양과 글자의 한 부분으로 쓰일 때의 모양이☞

    다른 예가 있습니다 이는 주로 글자 형태의 자연스러움을 고려했기 때문으로 짐작됩니다. .

    원래의 모양을 알아야 사전을 찾고 글자의 뜻을 짐작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변형( )變形

    을 정확하게 알아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많이 쓰이는 예를 아래에 제시하니 충분히 익혀. ,

    두기 바랍니다.

    부수와 한자의 뜻은 어느 정도 관계가 있나요- ?

    부수가 한자의 뜻과 관계가 있다는 점은 앞에서 지적한 바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관.☞

    계의 정도는 부수마다 차이가 있어서 일률적으로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글자의 뜻과 상당히.

    관계가 깊어서 알아 두면 한자를 익히는 데 유용한 예를 아래에 몇 가지 제시할 것입니다.

    변형 과 함께 기억해 두기 바랍니다( ) .變形

    오른쪽에 다른 글자를 넣어서 합쳐야 하기 때문에 약간 모양이 바뀝니다 이와: .人① →亻유사한 예로는 등이 있습니다( ), ( ) .足 糸→ →糹

    아래쪽에 쓰일 때는 이처럼 모양이 바뀝니다 그렇지만 가 글자의 왼쪽에 쓰: .火 火② →灬

  • - 14 -

    일 때는 모양의 변화가 없습니다 세찰 렬 과 빛날 환 을 비교해 보기 바랍니다. ‘ [ ]’ ‘ [ ]’ .烈 煥

    또 와는 무관하면서도 의 모양을 포함하는 글자도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예를 들‘ ’ .火 灬면 는 와는 관계가 없습니다, .魚 馬 火

    왼쪽에 쓰일 때 이처럼 모양이 바뀝니다 강 하 큰바다 양 과 같은 글자: . [ ], [ ]水 河 洋③ →氵에서 이런 예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글자의 경우 얼음 빙 이 변형된 글자인 과. [ ] ‘ ’氷 冫비교해서 함께 기억해 두면 유용합니다 는 물이며 은 얼음의 뜻을 가집니다 예를. ‘ ’ ‘ ’ .氵 冫들면 은 얼음의 뜻을 가지는 부수 과 동이라는 음을 가지는 이 합쳐진 형성자입‘ ’ ‘ ’ ‘ ’ ‘ ’凍 東冫니다 이 경우 얼다는 뜻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 ’ .

    왼쪽에 쓰일 때 의 형태가 됩니다 아래쪽에 쓰일 때는 변형 없이 으, : ‘ ’ . ‘ ’心 心④ →忄 㣺 忄로 쓰이지만 특별한 환경에서는 이 되기도 합니다 성낼 노 와 공손할 공 그, ‘ ’ . [ ] [ ], [怒 恭 慕㣺리워할 모 를 비교해 보면 환경의 차이를 짐작할 수 있을 것입니다 형태와 관계 없이 이] .

    글자들은 모두 마음과 관련된 뜻을 가집니다‘ ’ .

    왼쪽에 쓰일 때 이처럼 모양이 바뀝니다 잡을 구 를 예로 들 수 있습니다: . [ ] .手 拘⑤ →扌왼쪽에 쓰일 때 이처럼 모양이 바뀝니다 강아지 구 를 예로 들 수 있습니다: . [ ] .犬 狗⑥ →犭

    의 변형인 와 형태가 비슷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또 이 글자는 개 뿐 아니라‘ ’ ‘ ’ .手 扌짐승 일반과 관련된 뜻을 가집니다 여우 호 사나울 맹 의 예를 살펴보기 바랍니다. [ ], [ ] .狐 猛

    오른쪽에 쓰일 때 이처럼 모양이 바뀝니다 칼 검 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 [ ] .刀 劍⑦ →刂왼쪽이나 아래쪽에 쓰일 때 이처럼 모양이 바뀝니다 단 아래쪽에 쓰일 때는: .肉 月⑧ →

    의 형태를 유지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부수자는 달 월 이 부수로 쓰인 경우와 구‘ ’ . [ ]肉 月

    별해야 합니다 글자의 오른쪽에 쓰인 은 주로 달 월 의 의미를 갖게 됩니다 의. ‘ ’ [ ] . ‘ ’月 月 肉

    변형으로서의 은 고기라는 뜻 이외에 사람의 신체와 관련된 뜻을 갖게 될 때가 많다‘ ’ ‘ ’ ‘( ) ’月

    는 점도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자의 경우를 예로 들어보면 이 글자는 이 뜻. ‘ ’ , (= )肝 月 肉

    부분 방패 간 이 음부분의 역할을 합니다 즉 간이라는 음을 갖는 사람의 신체를 나타, [ ] . ‘ ’ ,干

    내는 글자가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 글자가 신체기관을 나타내는 간 간자 임을 짐작할. ‘ ’

    수 있게 됩니다.

    글자의 왼쪽에 쓰일 때 은 주로 으로 모양이 바뀝니다 구슬 옥이라는: ‘ ’ ‘ ’ . ‘ , ’玉 王 玉 王⑨ →

    의미를 갖기 때문에 이 부수를 포함하는 글자 역시 구슬이나 옥 보석 과 관련된 뜻을 갖게( )

    됩니다 구슬 주 고리 환 고리에서 돌다 순환하다의 뜻을 더 갖게 됩니다 과. [ ], [ ‘ ’ ‘ ’, ‘ ’ .]珠 環 →

    같은 글자들은 모두 이러한 변형을 보인 을 포함하는 형성자들입니다‘ ’ .玉

    왼쪽에 쓰일 때 주로 이처럼 모양이 바뀌는데 현대활자에서는 변형되지 않은: ,示⑩ →礻것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는 원래 신에게 제사지낼 때 제물을 올려놓는 탁자의 모습을. ‘ ’示

    본뜬 글자이기 때문에 부수자로 가 쓰이면 귀신이나 제사 길흉화복 과 관련, ‘ ’ ‘ , ( )’示 吉凶禍福

    된 뜻을 갖는 예가 많습니다 귀신 신 제사 사 빌 축 과 같은 글자에서 그런. [ ], [ ], [ ]神 祀 祝

    예를 찾을 수 있습니다.

    왼쪽에 쓰일 때 이처럼 모양이 바뀝니다 위에서 살핀 와 모양이 비슷: . ‘ (= )’衣 示⑪ →衤 礻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위쪽에 쓰일 때 이처럼 모양이 약간 바뀝니다: .艸⑫ →艹날 일 해나 시간과 관련된 뜻을 갖는 예가 많습니다 밝을 소 때 시 는[ ]: ‘ ’ ‘ ’ . [ ], [ ]日 昭 時⑬

    각기 해 시간과 관련된 뜻을 갖는 예입니다, .

    비 우 구름에서 물방울이 떨어지는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이 부수가 쓰인 경우에[ ]: ,雨⑭

    는 기상현상과 관련된 뜻을 갖는 예가 많습니다 구름 운 이슬 로 는 모두 기상현. [ ], [ ]雲 露

  • - 15 -

    상과 관련된 뜻을 갖는 형성자입니다.

    부서진 앙상한 뼈의 못습을 본뜬 글자인데 이 부수가 쓰인 경우에는 죽음이(= ): , ‘ ’⑮ 歹 歺나 재난과 관련된 뜻을 갖는 예가 많습니다 예컨대 자는 뜻부분인 부수자 과 음부‘ ’ . ‘ ’ ‘ ’殃 歹분인 가운데 앙 이 합쳐졌기 때문에 재앙 앙이 됩니다[ ] , ‘ ’ .央

    병들어기댈 녁 병질엄 사람이 병들어서 침상에 누워 있는 모습에서 나온 글자인데[ , ]: ,⑯ 疒이 부수가 쓰인 경우에는 질병 고통과 관련된 뜻을 갖는 예가 많습니다 병 질‘ ’, ‘ ’ . [ ],疾 病

    병 병 돌림병 역 아플 통 병나을 유 등의 예가 있습니다 자를 한번 살[ ], [ ], [ ], [ ] . ‘ ’疫 痛 癒 疲

    펴봅시다 이 글자는 질병이나 고통을 나타내는 부수자 과 음부분인 가죽 피 가 합쳐. [ ]皮疒진 형성자입니다 즉 피라는 음을 갖는 글자 가운데 질병이나 고통과 관련된 글자를 짐작. ‘ ’

    하면 글자의 뜻을 찾을 수 있습니다 무슨 뜻일까요 피로 피곤 에서 알 수 있. ? ( ), ( )疲勞 疲困

    듯이 지치다 피로하다는 뜻을 가진 피자입니다‘ , ’ ‘ ’ .

    닭 유 계유년 과 같은 예에서 볼 수 있듯이 간지 로 사용되어 닭을 뜻[ ]: ( ) ( )酉 癸酉年 干支⑰하는 글자로 흔히 쓰입니다 그런데 이 글자는 부수로 쓰일 경우 술 또는 발효시켜 만든. ‘ ’ ‘

    식품 과 관련된 뜻을 갖는 예가 많습니다 원래 가 술병의 모양을 본뜬 글자이기 때문이’ . ‘ ’酉

    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술 주 이 글자의 부수는 가 아니라 입니다 젓갈장. [ : * ‘ ’ ‘ ’ .], [ ,酒 水 酉 醬

    장 술깰 성 같은 글자에서 그런 예를 찾을 수 있습니다], [ ] .醒

  • - 16 -

    이음이의자(8) ( )異音異義字

    한자에는 음이 하나씩만 있나요- ?

    사전을 보면 알 수 있듯이 대부분의 한자는 여러 가지의 뜻을 가지는데 그 가운데는,☞

    뜻에 따라 음까지 바뀌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다른 음으로 읽히면 다른 뜻으로 해석.

    해야 합니다 흔히 이런 한자들을 이음이의자 라고 하는데 동일한 글자를 사용. ( ) ,異音異義字

    하지만 음과 뜻이 모두 다른 글자라는 뜻입니다.

    음이 여럿인 한자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

    사전에 실린 이음이의자 가운데는 현재는 한 가지 음으로만 읽히는 경향이 많은 예도☞

    물론 있습니다 또 특정한 음으로 읽히는 예가 드물어진 글자들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상당. .

    수의 이음이의자는 여전히 둘 이상의 음으로 읽히고 있습니다 이 가운데 오늘날 일상생활.

    에서도 비교적 많이 쓰이고 또 구분해야 할 필요가 있는 한자로는 다음과 같은 정도를 들

    수 있습니다 물론 한자를 공부할 때는 사전에서 음이 여럿인 글자는 아닌지 확인해 보는.

    습관을 가질 필요가 있을 것입니다.

    내리다 강 항복하다 항[ ( )/ ( )]降①

    악하다 악 미워하다 오[ ( )/ ( )]惡②

    쉽다 이 바꾸다 역[ ( )/ ( )]易③

    편하다 편 똥오줌 변[ ( )/ ( )]便④

    회복하다 복 다시 부[ ( )/ ( )]復⑤

    고치다 경 다시 갱[ ( )/ ( )]更⑥

    살피다 성 줄이다 생[ ( )/ ( )]省⑦

    즐겁다 락 음악 악 좋아할 요[ ( )/ ( )/ ( )]樂⑧

    말하다 설 유세하다 세 기쁘다 열[ ( )/ ( )/ ( )]說⑨ 열의 음으로 읽히는 예는 오늘날은 거의: ‘ ’

    찾기 어렵다 기쁠 열 자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옛문헌에서는 에서처럼 열로. [ ] . ‘ ’ ‘ ’悅 不亦說乎

    읽히는 예를 찾을 수 있다.

    마을 동 통하다 통[ ( )/ ( )]洞⑩ 통찰 에서 통의 예를 찾을 수 있다: ( ) ‘ ’ .洞察

    거북 귀 땅이름 구 트다 균[ ( )/ ( )/ ( )]龜⑪ 균열 에서 보듯이 갈라지다 트다는 뜻이: ( ) ‘ ’, ‘ ’龜裂

    되면 균으로 읽힌다‘ ’ .

    열다 척 박다 탁[ ( )/ ( )]拓⑫ 개척 에서는 척으로 읽힌다 그렇지만 탁본 이나: ( ) ‘ ’ . ( )開拓 拓本

    어탁 에서는 탁으로 읽힌다( ) ‘ ’魚拓 .

    밑줄 친 한자를 읽어봅시다- .

    ① 省墓 ② 率先 ③ 復活 ④ 更生 遊⑤ 說 音⑥ 樂 昇⑦ 降機 回⑧ 復 憎⑨ 惡 ⑩ 省略

    밑줄 친 부분은 모두 이음이의어입니다 의 자는 위에서 언급하지 않았는데 이. ‘ ’ ,率☞ ②

    글자는 거느리다 앞장서다의 뜻일 때는 솔로 읽고 비율을 뜻할 때는 률로 읽습니다‘ , ’ ‘ ’ , ‘ ’ ‘ ’ .

    차례대로 한자어들을 읽어 보겠습니다 성묘 솔선 부활 갱생 유세 음악 승강기 회복. , , , , , , , ,

    증오 생략, .

  • - 17 -

    모양이 비슷한 한자(9)

    모양이 비슷한 한자들은 특별한 관계가 있나요- ?

    한자에는 모양이 비슷한 글자들이 많습니다 이들 가운데는 별다른 관계가 없는 예도.☞

    있지만 음이나 뜻이 비슷한 경우도 많습니다 이는 한자 가운데 형성자가 많기 때문입니다, . .

    형성자가 음부분과 뜻부분으로 나누어진다는 것은 앞에서도 언급한 바 있는데 모양이 비슷,

    한 한자들 가운데는 음부분 혹은 뜻부분 중 어느 한 쪽이 같은 경우가 많습니다.

    음부분이 같은 한자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

    여러 한자의 뜻부분이 같다는 것은 어떤 의미로는 부수가 같다는 뜻이 될 수 있겠는☞

    데 이런 예는 앞서 부수를 공부하면서 거론했기 때문에 여기서는 다루지 않겠습니다 음부, .

    분이 같은 한자는 비교해 가면서 공부해볼 만합니다 음부분이 같더라도 몇 개의 다른 음을.

    취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또 부수의 변화에 따라 뜻이 어떻게 바뀌는가도 살펴볼 만합니다.

    한자의 정확한 의미를 익히는 데는 이러한 학습방법이 상당히 효과적입니다 다만 여기서.

    모든 한자를 다 다룰 수는 없기 때문에 몇 가지 예만 들도록 하겠습니다 교재의 한자어익. ‘

    히기 에 제시된 한자들을 이런 방식으로 공부해보기 바랍니다’ .

    칼 검 검소할 검 검사할 검 험할 험 증험할 험 다 첨 자를[ ] [ ] [ ] [ ] [ ]: [ ]劍 儉 檢 險 驗 僉①

    공통의 음부분으로 갖는 글자들이지만 음은 검과 험의 둘로 나누어집니다 이밖에 수렴‘ ’ ‘ ’ .

    의 처럼 렴의 음을 갖는 경우도 있습니다 의 경우에는 이 부수로 사용되었( ) ‘ ’ ‘ ’ . ‘ ’收斂 斂 檢 木

    는데 검사하다는 나무와 다소 거리가 있는 것처럼 느껴질 수 있습니다 예전에는 검사의, ‘ ’ ‘ ’ .

    기준이 되는 자 를 나무로 만들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둘 사이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습[ ]尺

    니다 자는 시험 실험 경험 등에서 용례를 찾을 수 있습니다. ‘ ’ ( ), ( ), ( ) .驗 試驗 實驗 經驗

    복숭아 도 칠 도 달아날 도 뛸 도 조짐조 조 를 음부분으[ ] [ ] [ ] [ ]: [ , ( ) ]桃 挑 逃 跳 兆 數字②

    로 한 글자들인데 음은 모두 도입니다 에는 책받침 이 부수로 사용되었는데 은, ‘ ’ . ‘ ’ ( ) ,逃 辶 辶원형이 쉬엄쉬엄갈 착 입니다 때문에 이 부수가 쓰이면 이동 을 뜻하는 경우가‘ [ ]’ . ‘ ( )’移動辵많습니다.

    날빤지 판 인쇄할 판 팔 판 반대할 반 이 음부분으로 사용되었는데[ ] [ ] [ ]: [ ] ,板 版 販 反③

    모두 판의 음을 가집니다 자의 경우 부수인 가 돈이나 재물을 뜻한다는 점은 앞서‘ ’ . ‘ ’ ‘ ’販 貝

    언급한 바 있습니다.

    장막 막 막 막 사막 막 본 모 모을 모 저물 모 그리워할[ ] [ ] [ ] [ ] [ ] [ ] [幕 膜 漠 模 募 暮 慕④

    모 무덤 묘 말 막 을 음부분으로 하는 글자들인데 막 모 묘의 세 가지 음으] [ ]: [ ] , ‘ ’, ‘ ’, ‘ ’墓 莫

    로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은 부수가 수건 건 이어서 천이나 장막과 관련된. [ ]幕 巾

    뜻을 갖게 된 것입니다 의 부수인 은 왼쪽에 사용되었으므로 의 변형이며 따라서. ‘ ’ ‘ ’ ,膜 月 肉

    사람의 신체와 관련된 뜻을 갖습니다 신체의 얇은 막을 가리키는 글자입니다 는 뜻부분. . 暮

    인 과 음부분인 이 합쳐진 형성자입니다.日 莫 의 경우 음부분인 은 글자 전체의 뜻과( ‘ ’暮 莫

    도 관련되어서 회의자의 성격도 가지고 있습니다 말다 그만두다 의 뜻을 가진 에는 없. ( ) ‘ ’ ‘莫

    다 는 뜻도 있어서 해가 없다는 풀이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자원 을 따진다’ ‘ ’ . ( )字源

    면 이 글자의 구성은 좀더 복잡해집니다 원래 자는 저녁 무렵 저물다의 뜻을 가지고. ‘ ’ ‘ ’, ‘ ’莫

    있었는데 이후에 점차 의미 분화가 이루어진 결과 저물다의 뜻에는 자를 더한 를, ‘ ’ ‘ ’ ‘ ’日 暮

    사용하게 되었다고도 합니다.)

  • - 18 -

    물결 파 깨뜨릴 파 피로할 피 저 피 가죽 피 자를 공통의 음부[ ] [ ] [ ] [ ] : [ ]波 破 疲 彼 皮⑤

    분으로 갖는 글자들이지만 음은 파와 피의 둘로 나누어집니다‘ ’ ‘ ’ .

    점차 점 부끄러울 참 부끄러울 참 잠깐 잠 벨 참 자를 공통의 음[ ] [ ] [ ] [ ]: [ ]漸 慙 慚 暫 斬⑥

    부분으로 갖는 글자들이지만 음은 점 참 잠으로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과 은 글‘ ’, ‘ ’, ‘ ’ . ‘ ’ ‘ ’慙 慚

    자들이 합쳐진 위치가 다르지만 같은 글자입니다 한자에서는 대부분 합쳐지는 위치가 달, .

    라져도 같은 글자로 인정되는 예가 많습니다 이런 예로는 봉우리 봉 과 의 예를 들. ‘ [ ]’ ‘ ’峯 峰

    수도 있습니다. 예외적으로 잊을 망 과 바쁠 망 은 두 글자 모두 과 이 합쳐진( [ ] [ ]忘 忙 亡 心

    글자임에도 불구하고 완전히 다른 글자가 됩니다.)

    부를 소 부를 초 밝을 소 비출 조 가 음부분으로 사용되었지만[ ] [ ] [ ] [ ]: ‘ ’ ,召 招 昭 照 召⑦

    글자의 음은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와 는 둘 모두 부르다로 풀이되지만 실제의 뜻. ‘ ’ ‘ ’ ‘ ’召 招

    은 조금 다릅니다 소집 이나 소환 에서 보듯이 는 강제성을 가진 말이. ( ) ( , ) ‘ ’召集 召喚 召還 召

    지만 초대 초청 초빙 에서 보듯이 는 상대적으로 정중한 의미를 내포, ( ), ( ), ( ) ‘ ’招待 招請 招聘 招

    하는 말입니다.

    심을 식 번성할 식 값 치 둘 치 곧을 직 이 공통의 음부분으로[ ] [ ] [ ] [ ]: [ ]植 殖 値 置 直⑧

    사용되었지만 음은 식과 치의 둘로 나타납니다 의 부수인 은 그물을 뜻하는‘ ’ ‘ ’ . (= ) ‘ ’置 罒 罓글자입니다 방치 적치 등에서 이 글자의 용례를 찾을 수 있습니다. ( ), ( ) .放置 積置

    할애비 조 세금 조 짤 조 험할 조 씹을 저 저주할 저 조[ ] [ ] [ ] [ ] [ ] [ ] [祖 租 組 阻 咀 詛 査⑨

    사할 사 또 차 자가 공통의 음부분으로 사용되었지만 음은 조 저 사로 다양하게]: [ ] , ‘ ’, ‘ ’, ‘ ’且

    나타납니다 그렇지만 조로 읽히는 글자들이 상대적으로 사용빈도가 높습니다 에서는. ‘ ’ . ‘ ’租

    벼 화 자가 부수로 사용되었는데 이 글자는 원래 곡식으로 내는 세금을 뜻하는 말입니[ ] ,禾

    다 세금 의 자에도 역시 가 부수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는 나무 즉 재목을. ( ) ‘ ’ ‘ ’ . ‘ ’稅金 稅 禾 査

    찾아 조사한다는 뜻에서 유래한 글자로 알려져 있는데 조사 검사 심사, ( ), ( ), ( )調査 檢査 審査

    와 같이 비교적 많이 사용되면서 음이 특이하기 때문에 특히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상 상 갚을 상 은 에 부수인 을 합쳐서 만들어낸 글자인데 이런[ ] [ ]: ‘ ’ ‘ ’ ‘ ’ ,賞 償 償 賞 人⑩

    방식으로 조자 된 글자들의 뜻을 잘 구분하지 못하는 학생들이 의외로 많습니다( ) .造字 巷

    골목 항 과 항구 항 동녘 동 과 얼 동 고기 어 와 고기잡을 어 같은[ ] [ ], [ ] [ ], [ ] [ ]港 東 凍 魚 漁

    글자들의 구별이 그런 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음 한자들을 구별해 봅시다- .

    / / / / / /人 入 午 牛 氷 永 直 眞 李 季 秀① ② ③ ④ ⑤

    글자의 음이나 뜻에 관련성이 없는데도 단순히 모양이 비슷하기 때문에 착각하게 되는☞

    글자들도 있습니다 이 글자들은 기본자에 속하지만 착각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하기 바.

    랍니다.

    사람 인 들 입[ ]/ [ ]人 入①

    낮지지 오 소 우[ , ]/ [ ]午 牛②

    얼음 빙 길 영 은 길다 오래다 정도의 뜻을 갖는 글자입니다 영구[ ]/ [ ] : ‘ ’ ‘ ’, ‘ ’ . (氷 永 永 永③

    에서 용례를 찾을 수 있습니다 이 글자에 를 합친 글자 즉 은 형성자인데 무슨) . ‘ ’ ‘ ’ ,久 水 泳

    뜻을 가질까요 수영 에서 볼 수 있듯이 헤엄치다는 뜻을 갖습니다? ( ) ‘ ’ .水泳

    곧을 직 참 진[ ]/ [ ]直 眞④

    오얏 리 끝계절 계 빼어날 수[ ]/ [ , ]/ [ ]李 季 秀⑤

  • - 19 -

    중국의 문자인 한자(10)

    은 왜 동쪽이라는 뜻을 가지게 되었을까요- ‘ ’ ?東

    의 글자모양을 보면 나무 과 해 이 합쳐진 글자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 ) ( ) .東 木 日☞

    경우 음부분에 해당하는 글자가 없기 때문에 회의자로 파악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해가 나무에 걸려 있는 모양이므로 떠오르는 해가 나무에 걸려 있기 때문에 해가 뜨는 방‘ ’

    향인 동쪽을 뜻하게 되었다고 풀이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 설명이 자연스럽게 느껴집니까 만약 그렇다면 자의 글자 모양을 생각하지 않은? ‘ ’東

    채 머리 속에 동쪽의 이미지를 상상해 보기 바랍니다 현대 한국인의 경우 바다를 배경으로.

    붉은 해가 떠오르는 모습을 상상하게 되는 것이 일반적일 것입니다 에서 보았던 동해바. TV

    다의 이미지가 떠오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사실 따지고 보면 나무에 해가 걸려 있는 것이. ‘ ’

    동쪽이어야 할 이유는 별로 없는 듯합니다 지는 해가 서산 의 나무에 걸려 있다면. ( ) ,西山

    은 서쪽을 뜻하는 글자여야 할 것도 같습니다 그런데 한자에서는 왜 이 동쪽을 뜻하‘ ’ .東 東

    게 되었을까요?

    설문해자 에서 그 이유의 일부를 찾아볼 수 있는데 단적으로 말한다면 이 중국에, ‘東『 』

    서 만든 글자이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중국의 신화에 의하면 해는 아침이 되면 동’ .

    쪽 바닷속에 있는 부상 이라고 하는 신목 에서 올라온다고 합니다 또한 해를 발( ) ( ) .扶桑 神木

    이 셋 달린 까마귀 와 관련하여 형상화한 중국 신화와도 연관성도 생각할 수 있습니[ ]三足烏

    다 새는 나무에서 날아오르기 때문입니다 한편 이러한 풀이는 오행 사상과도 연관된. . ( )五行

    것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현대중국의 학자인 는 자의 유래에 대해 전혀 다른 풀( ‘ ’徐仲舒 東

    이를 하고 있고 이러한 풀이는 오늘날 정설로 인정되고 있습니다 서중서는 갑골문을 근거.

    로 자의 어원을 추정했는데 이는 물건을 채워 넣은 주머니를 뜻하는 글자 에서 유‘ ’ , ‘ ’[ ]東 橐

    래한 상형자이며 동쪽이라는 추상적인 개념을 표현하기 어려웠던 사정상 같은 음을 가진‘ ’

    이 글자를 빌려서 사용하게 된 것이라고 하였습니다 설문해자 는 갑골문을 발견하지 못. 『 』

    했던 시대의 저술이므로 이런 오류가 나타났던 것이라고 합니다 이 학설의 경우에도 자. ‘ ’東

    의 기원은 중국어 발음과 관계된 것이라 할 수 있으므로 한자가 중국의 문자이기 때문에,

    이 동쪽을 뜻하게 된 것이라는 풀이는 가능할 것입니다‘ ’ .)東

    글자를 만든 사람을 찾아서 물어보지 않는 한 정확한 자원 을 밝히기는 어렵겠지만( ) ,字源

    이를 통해 한자가 중국의 문자이기 때문에 중국의 문화나 생활과 연관되어 있다는 점을 한

    자를 공부할 때 염두에 두어야 한다는 점은 교훈으로 삼을 수 있을 것입니다 사실 한자가.

    중국의 문화 생활 어법과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우리말과 맞지 않거나 다른 부분이 있는, ,

    데 이런 몇 가지 예를 이하에서 간단히 살펴 보고자 합니다, .

    청룡도 큰칼은 칼일까요 아니면 창일까요- ‘ ( ) ’ ? ?靑龍刀

    삼국지 에 등장하는 인물 가운데 관우가 사용하는 무기의 이름이 청룡언월도(靑龍☞ 『 』

    입니다 칼날이 초승달 모양이기 때문에 언월도 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그런) . ( ) .偃月刀 偃月刀

    데 만화나 화보에 그려진 관우의 모습을 보면 이 무기에는 긴 손잡이가 달려 있어서 마치,

    창 인 것처럼 보입니다 그런데 한자를 살펴보면 칼 도 자를 사용했기 때문에 분명히 칼‘ ’ . [ ]刀

    의 일종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것을 칼이라고 해야 할까요 아니면 창이라고 해야 할까요. ? ?

    국어사전을 찾아보면 창 은 옛날 무기의 한 가지 긴 나무 자루 끝에 날이 선 뾰족한( ) “ .槍

  • - 20 -

    쇠가 달려 찌르거나 던지게 되어 있음 으로 칼은 물건을 베거나 깎거나 써는 데 쓰이는” , “

    날이 선 연장 이라고 풀이되어 있습니다 둘을 나누는 기준이 분명하지는 않지만 이 풀이” . ,

    에 의하면 긴 자루가 있는가 그리고 사용하는 방법이 어떠한가의 두 가지를 거론할 수 있을

    듯합니다 이 기준을 적용한다면 청룡도는 긴 자루가 있다는 점에서는 창에 가깝고 사용하. ‘ ’

    는 방법에 있어서는 칼에 가깝습니다 즉 우리말의 칼과 창 어디에 속한다고 단정하기 어. ‘ ’ ‘ ’

    렵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판소리 사설에서는 이를 청룡도 큰칼이라고 하였는데 이 표. ‘ ’ ,

    현은 이러한 난점을 고려한 것일지도 모릅니다 청룡도의 예는 우리말과 한자의 의미 범주.

    가 개별 단어나 글자에 있어서 다를 수 있음을 드러내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사실 한자는 새로운 사물에 대해 새로운 글자를 만들어서 표현하기 때문에 비슷비슷한 사

    물을 엄격하게 구분해서 지칭하는 글자들이 갖추어져 있습니다 예를 들면 칼에 해당하는. ‘ ’

    칼 도 와 칼 검 창에 해당하는 창 창 창 모 창 극 창 과[ ] [ ], ‘ ’ [ ], [ ], [ ], [ ],刀 劍 槍 矛 戟 戈 槊

    창 삭 등은 각기 모양이나 기능이 다른 사물을 표현하는 글자입니다 세분화된 의미를 개[ ] .

    별 한자가 갖고 있는 것입니다 그렇지만 우리말로는 각기 칼이나 창으로 번역할 수밖에 없.

    습니다 이처럼 한자가 각기 세분화된 의미를 갖고 있다는 점은 한자의 장점이면서 동시에.

    단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정확하고 전문적인 표현을 한 글자만으로도 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지만 그 결과 글자수가 늘어나서 익히고 사용하기 어렵다는 점은 단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말 어휘 가운데 한자어의 비중이 높다는 점은 잘 알려진 사실인데 그 결과 우리가,

    사용하는 한자어에도 이러한 의미 분화는 반영되어 있습니다 즉 앞서 말한 한자의 장점과.

    단점을 우리 역시 피해가기 어렵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과일 깎는 칼을 과도. (果

    라고는 하지만 과검 이라고는 하지 않습니다 한자어가 우리말의 일부분이 된 이상) ( ) .刀 果劍

    이러한 구별을 우리 역시도 하고 있는 셈입니다 따라서 정확한 우리말을 사용하기 위해서.

    는 한자 및 한자어의 정확한 뜻을 알고 있어야 한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한 가지 예를 더 들어보겠습니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한자어 가운데 견문 과 시. ( )見聞

    청 이 있습니다 두 단어는 각기 보다 듣다의 의미를 합친 것입니다 그렇지만 이( ) . ‘ ’+‘ ’ .視聽

    두 단어의 용례는 전혀 다릅니다 나는 어제 를 시청했다 는 자연스러운 표현이지만. “ TV .” ,

    나는 어제 를 견문했다 는 말은 이상하게 느껴집니다 과 은 거의 무의식적으로“ TV .” . ‘ ’ ‘ ’見 聞

    혹은 큰 목적의식 없이 보고 듣는 것인 데 비해 와 은 내용을 정확히 알고자 주목하, ‘ ’ ‘ ’視 聽

    면서 보고 듣는 것입니다 이런 차이에 주목하고서 만약 누군가 나는 어제 를 견문했. “ TV

    다 고 말하는 것을 본다면 그 사람이 라는 사물을 처음으로 구경한 사람일 것이라고.” , TV

    추정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한자어와 고유어의 의미 영역이 다른 예로는 우리말의 뛰다도 살펴볼 만합니다 이제부‘ ’ . “

    터 뛰어보자 고 말했을 때 이 말을 들은 사람 가운데는 도약 을 하는 사람도 있고 질” ( )跳躍

    주 를 하는 사람도 있을 것입니다 이는 과 가 모두 뛰다로 풀이되면서도 실제( ) . ‘ ’ ‘ ’ ‘ ’疾走 躍 走

    로는 다른 의미를 갖는 한자이기 때문일 것입니다.

    상사병 을 한자로 써 봅시다- ‘ ’ .

    국어사전에 상사병은 어떤 이성을 그리워한 나머지 생기는 병 이라고 풀이되어 있습“ ”☞

    니다 이러한 풀이를 그대로 한자로 표현한다면 이 될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생각. ‘ ’ . ‘想思病

    하고 생각해서라는 식의 중복의 표현이 적당할 것 같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실제 사전을’ .

    찾아보면 으로 되어 있습니다 왜 한자어에서는 생각할 상 이 아닌 서로 상‘ ’ . [ ] [ ]相思病 想 相

  • - 21 -

    을 사용할까요 을 사용한 경우 이를 직역 하면 서로 생각하는 병이 될 것인데? ‘ ’ ( ) ‘ ’ ,相 直譯

    이는 상사병의 의미와는 다른 것처럼 느껴집니다 사전이 잘못된 것일까요‘ ’ . ?

    그렇지는 않습니다 이 우리말의 서로와는 뜻이 같지 않다는 것이 실제 이유입니다. ‘ ’ ‘ ’ .相

    한자어에는 부분적이기는 하지만 한문 문법 즉 중국어의 문법이 반영될 수밖에 없는데 한,

    문 문법에 있어서 은 복수 를 의미할 뿐인 경우가 있으며 이 때의 은 우리말로‘ ’ ( ) ‘ ’相 複數 相

    번역하기 어렵습니다 의 경우 생각하는 사람과 생각을 받는 사람의 양쪽이 있기. ‘ ’ ‘ ’ ‘ ’相思病

    때문에 가 되는 것입니다 상담 을 할 때는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이 있어야‘ ’ . ( ) ‘ ’ ‘ ’相思 相談

    하고 상조 를 할 때는 돕는 사람과 도움을 받는 사람이 있어야 하는 것과 같은 원, ( ) ‘ ’ ‘ ’相助

    리입니다 즉 상담이 양쪽이 똑같이 상대방에게 말을 하는 것이 아니며 상조가 도움을 받. ‘ ’ ‘ ’

    은 만큼 도와주는 것이 아니듯이 상사도 양쪽이 같은 정도로 상대방을 생각하거나 그리워, ‘ ’

    하는 것이 아닌 것입니다.

    문법의 문제와는 거리가 있지만 언어관습상 글자의 결합 순서가 달라지는 경우도 있습니

    다 예를 들면 한자어인 매매 는 팔다 사다로 구성되어 있지만 우리말에서는 팔고. ( ) ‘ + ’ , ‘賣買

    사다보다는 사고팔다가 자연스럽게 느껴집니다 이런 현상은 관습에 의한 것이니만큼 규’ ‘ ’ .

    칙적인 것은 아니어서 한자어인 수수 와 우리말의 주고받다는 같은 형태로 이루어, ‘ ( )’ ‘ ’授受

    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런 부분도 한자어를 사용할 때는 주의해야 할 것입니다. .

  • - 22 -

    한자와 한국어(11)

    조선시대에도 오늘날과 같은 음으로 한자를 읽었을까요- ?

    한자음은 시대에 따라 조금씩 변해왔습니다 즉 삼국시대는 물론이고 조선시대에도 모.☞

    든 한자의 음이 오늘날과 같은 것이었으리라고 단정짓기는 어렵습니다 오늘날 우리나라에.

    서 출판된 한자사전에는 속음 이 표시된 경우가 있는데 이는 해당 한자가 과거에 여( ) ,俗音

    러 가지 음으로 읽혔음을 알려주는 것이기도 합니다 오늘날과 거의 같은 표준한자음이 정.

    리된 데는 정조 때 편찬된 규장전운 이 큰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 )奎章全韻『 』

    다 원래의 편찬목적과는 조금 거리가 있지만 이 책을 통해 한자음이 어느 정도 통일되었. ,

    기 때문입니다 오늘날에는 사전에 정리된 표준한자음을 모든 사람들이 사용하기 때문에. ,

    그 음을 익히도록 해야 합니다 그렇지만 규장전운 이전에는 지역에 따라 사람에 따라. 『 』

    약간씩의 차이가 있었을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한자어의 발음도 한글맞춤법의 적용을 받나요- ?

    한자어 역시 국어사전에 수록된 우리말 어휘이기 때문에 한글맞춤법의 적용을 받습니☞

    다 그 정도에 있어서 영어 등에서 받아들여진 어휘들과는 다릅니다 대표적인 경우가 두음. .

    법칙입니다 라디오 같은 단어는 두음법칙이 적용되지 않지만 한자어인 나열 에는. ‘ ’ ‘ ( )’羅列

    두음법칙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물론 사이시옷 규정에서처럼 순수한 고유어와는 구별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 한자어 가운데는 본음 이 아닌 음으로 읽는 경우도 있습니다 교재 면에 그런( ) . 59本音

    예들이 실려 있습니다 어려울 난 의 경우에 만난 곤란 논란 의 예에서. [ ] ‘ ( )/ ( )/ ( )’難 萬難 困難 論難

    보듯이 같은 받침 뒤에서도 난과 란의 두 가지로 읽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 경‘ ’ ‘ ’ ‘ ’ ,ㄴ

    우 소리나는 대로 적는다는 것이 원칙입니다 즉 한자어를 사용해온 그 동안의 관습을 따‘ ’ .

    라 발음한다는 것입니다.

    한국에서만 사용하는 한자도 있나요- ?

    한자를 한국에서도 사용했기 때문에 과거에 한국에서 만들어서 통용시킨 한자도 있었☞

    을 것임은 추측할 수 있는 일입니다 비교적 분명하게 드러나는 예로는 고유명사를 표기하.

    기 위해서 한자를 만든 예가 있습니다 사실상 발음을 표기하기 위한 글자이기 때문에 뜻은.

    큰 의미가 없는데 걱, ( 돌) · (乭 쇠) · (釗 갈) · (乫 묠) · ( 같은 것이 그런 예에 속합니다 육) .

    서를 굳이 적용한다면 형성자에 가깝다고 할 수 있겠는데 이런 글자들은 중국이나 일본, ,

    베트남 등에서 사용하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이 밖에 뿐. ( 며) · ( 소) · (召 와 같이 이두) (吏

    讀 에서 사용했던 글자들도 있는데 이미 있던 글자의 경우에도 원래 한자의 뜻과는 전혀) ,

    관련이 없는 용법으로 쓰였음을 볼 수 있습니다.

    한편 한자어의 경우에는 한국에서 쓰이는 과정에서 의미나 음이 달라진 경우도 있습니다.

    비교적 근래에 변화된 예로는 영계를 들 수 있습니다 이 단어는 한자어 연계 에서‘ ’ . ( )軟鷄

    온 것입니다 약병아리 즉 병아리와 큰 닭의 중간 정도의 닭을 지칭하는 말이었지만 오늘. ‘ ’ ,

    날에는 음이 바뀌고 의미 또한 변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 - 23 -

    한자성어 의 기능과 활용(12) ( )漢字成語

    한자성어 란 무엇인가요- ( ) ?漢字成語

    한자어 가운데는 관용적으로 하나의 단어처럼 굳어진 성어 들이 존재합니다 이( ) .成語☞

    같은 한자어 가운데는 네 글자로 이루어진 경우가 많기 때문에 흔히 사자성어 라( )四字成語

    고 부르기도 합니다 또 역사나 고전 에서 유래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고사성어. ( ) (古典 故事成

    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네 자로 이루어지지 않았거나 역사나 고전에서 유래하지 않은 말) .語

    도 많기 때문에 이를 포괄해서 부를 때는 한자성어 라고 합니다 이러한 한자성어( ) .漢字成語

    의 유래를 공부하게 되면 고전의 지혜나 역사의 교훈을 배울 수 있는 이익이 있습니다.

    언어생활 자체만을 두고 보면 한자성어를 적절하게 활용하게 되면 짧은 문장으로도 효과,

    적인 표현을 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습니다 물론 그렇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한자성어의 유.

    래까지 정확하게 알고 있어야 할 것입니다 교재의 한자어의 유래와 뜻 이야기가 있는 사. ‘ ’, ‘

    자성어 에서는 단순한 뜻풀이에 그치지 않고 유래와 다양한 활용방식에 대해서도 자세히 서’

    술하고 있습니다 이를 자세히 읽어보고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연습해 보기 바랍니다. .

    한자성어 의 뜻과 활용되는 상황은 고정되어 있나요- ( ) ?漢字成語

    한자성어는 유래가 되는 문헌 혹은 일화에 근거를 두고 있는 경우가 많고 관습적으로☞

    굳어진 것이므로 뜻이 잘 바뀌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비슷한 의미를 지닌 한자를 이용하여, .

    새로 성어를 만들어낸다면 원래의 성어와 같은 뜻이 되기는 어렵습니다 예를 들면 말이나. ‘

    행동의 앞뒤가 맞지 않는 상황을 뜻하는 모순 은 창 과 방패 가 합쳐져서 이뤄’ ( ) [ ] [ ]矛盾 矛 盾

    진 말입니다 한자어 가운데 간과 는 비슷한 의미의 글자로 이루어진 단어이지만 그. ( )干戈

    뜻은 전혀 다릅니다 간과는 병장기 혹은 전쟁을 뜻하는 말입니다 이는 방패 와 창. . [ - ]干 盾

    의 종류가 정확히 일치하지 않기 때문이 아니라 모순 이 무기 상인의 일화와[ - ] , ( )戈 矛 矛盾

    어울려 관습적으로 사용된 데 비해 간과 는 그렇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 .干戈

    그렇지만 시대나 지역에 따라 한자성어의 뜻이나 활용되는 상황이 달라지는 예는 존재합

    니다 예를 들면 청출어람 은 원래 사람의 학문이 연마를 거듭함으로써 더욱 깊. ‘ ( )’靑出於藍

    어지고 순화된다는 뜻이었지만 현재는 스승보다 제자의 실력과 평판이 낫다는 의미로 사용,

    되고 있습니다 기우 도 하늘과 땅이 무너지더라도 마음이 끌리지 않는 무심 의. ‘ ( )’ ( )杞憂 無心

    경지를 나타내는 말이었지만 현재는 쓸데없는 걱정을 뜻하게 되었습니다 이는 원래 고전, .

    의 문맥과는 다른 각도에서 한자성어가 관습화된 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 ) .古典

    또 한자성어의 유래를 재해석함으로써 의미를 바꾼 예도 있습니다 미생지신 이. ( )尾生之信

    대표적인 예입니다 춘추시대 노나라에는 미생 이라는 사람이 살았는데 어느 날 여자. ( ) ,尾生

    와 다리 밑에서 만나기로 약속했다고 합니다 이날 갑자기 많은 비가 내렸고 강물이 불어났.

    지만 미생은 약속을 지키기 위해 다리 아래를 떠나지 않았고 결국 교각 을 끌어안고, ( )橋脚

    죽었다고 합니다 이후에 미생의 신의 를 고지식하고 융통성이 없는 행동이나 신념을. ( )信義

    뜻하는 것으로 활용하게 된 것이 미생지신 입니다 그런데 소진 은 미생지신( ) . ( ) ‘ ’尾生之信 蘇秦

    을 써서 자신의 신의가 특별히 두텁다는 점을 강조한 바 있습니다 즉 미생과 같은 정도로.

    목숨을 버려서까지 약속을 지키는 인물이라는 점을 내세운 것입니다 이러한 재해석은 근대.

    에 이르러서도 여러 사람에 의해 제시된 바 있는데 특히 신의를 쉽게 저버리는 사람들 혹,

    은 그러한 당시의 풍조를 비판하기 위해 미생지신을 거론한 예는 여럿 찾을 수 있습니다‘ ’ .

  • - 24 -

    우리나라에서 만들어진 한자성어도 있나요- ?

    한자성어 가운데 차지하는 비율이 높다고는 하기 어렵지만 우리나라에서 만든 한자성,☞

    어도 존재합니다 대표적인 예가 함흥차사 입니다 직역하자면 함흥에 보낸 사자. ( ) . ‘ ’咸興差使

    가 되는데 이는 조선 태조 이성계의 일화와 관련된 말입니다 이성계가 두 차례에 걸친, . 왕

    자의 난 이후 왕위를 물려주고 함흥으로 가버렸는데 뒤에 태종이 아버지 이성계의 노여움,

    을 풀고자 함흥으로 여러 번 사신을 보냈다고 합니다 이성계는 그 사신들을 죽이거나 잡아.

    가두고 보내지 않았고 함흥차사는 심부름을 간 사람이 소식이 아주 없거나 또는 회답이, ‘ ’ ‘

    좀처럼 오지 않음을 뜻하게 되었습니다’ .

    고사가 관련된 것은 아니지만 삼수갑산 도 우리나라에서 만들어진 한자성어의( )三水甲山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삼수와 갑산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춥고 외딴 곳인 함경도 개마고원에.

    있는 고을의 이름입니다 이 두 곳은 중죄인을 보내는 귀양지였기 때문에 매우 험한 곳 살. , ,

    아서 돌아오기 어려운 곳을 뜻하는 말로 쓰이게 된 것입니다.

    우리나라에서 만든 한자성어는 아니지만 문화적인 배경이 다르기 때문에 중국에서와는 다

    른 뜻으로 이해되곤 하는 예도 있습니다 망양보뢰 가 그런 예가 될 수 있습니다. ( ) .亡羊補牢

    직역하면 양을 잃고 나서 우리를 고친다로 풀이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직역은 우리 속담‘ ’ .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와 거의 비슷하게 느껴지기 때문인지 우리나라에서는 이 속담과 같‘ ’ ,

    은 의미로 이해하고 사용하는 사례가 적지 않습니다 그렇지만 유래를 고려할 때는 망양보. ‘

    뢰 를 양을 잃고 나서 우리를 손질하더라도 늦은 것은 아니라는 의미로 풀이하는 것이 정확’

    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즉 똑같은 실수를 되풀이하지 않도록 한다는 뜻이 되는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