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9
중국의 대한국 일본 대만의 수입구조 비교 분석 이 문 형 2009. 3. ISSUE PAPER 2009-242

ISSUE PAPER 2009-242 중국의... · 2017-01-31 · 중국의 대한국・일본・대만의 수입구조 비교 분석 이 문 형 2009. 3. issue paper 2009-242

  • Upload
    others

  • View
    3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중국의 대한국・일본・대만의 수입구조 비교 분석

    이 문 형

    2009. 3.

    ISSUE PAPER 2009-242

  • • 차례 •

    ·························································································· 1

    Ⅰ. 연구의 목적과 구성 ························································· 14 1. 연구 필요성과 목적 ······························································· 14

    2. 연구 구성과 방법론······························································· 17

    Ⅱ. 중국의 수입구조와 특징 ················································· 19 1. 수입 추이와 특징·································································· 19

    (1) 수입 위상과 발전 추이···················································· 19

    (2) 수입시장 특징·································································· 21

    2. 국가별 수입구조와 무역수지················································· 29

    (1) 국가별 수입구조······························································· 29

    (2) 국가별 무역수지······························································· 32

    3. 산업별 수입구조와 무역수지················································· 34

    (1) 산업별 수입구조······························································· 34

    (2) 산업별 무역수지······························································· 38

    Ⅲ. 중국의 대한국・일본・대만의 수입 위상과 경쟁구조 분석 ···································································· 41

    1. 중국의 대한국・일본・대만의 수입 추이와 특징 ···················· 41

    (1) 대한국・일본・대만의 수입 추이와 위상··························· 41

    (2) 부품소재 중심의 수입구조··············································· 44

  • • 차례 •

    2. 대중국 투자와 연계된 수입구조··········································· 48

    (1) 한국, 일본, 대만의 대중국 투자 추이와 특징 ················· 48

    (2) 3국 대중국 투자기업들의 원부자재 조달구조 비교 ········ 54

    (3) 투자와 수입 간의 상관계수 비교 ···································· 57

    3. 산업별 수입구조와 무역수지················································· 65

    (1) 산업별 중국의 대한국, 일본, 대만의 수입구조··············· 65

    (2) 중국의 대한국, 일본, 대만의 수입집중도························ 69

    (3) 산업별 무역수지······························································· 74

    (4) 산업내 분업지수 비교······················································ 79

    Ⅳ. 한, 일, 대만의 산업별, 품목별 경쟁구조 분석 ······· 85 1. 전기전자산업········································································· 85

    2. 석유화학산업········································································· 92

    3. 제1차금속산업······································································ 100

    4. 정밀기기산업········································································ 106

    5. 일반기계산업········································································ 112

    6. 수송장비산업········································································ 117

    7. 섬유가죽산업········································································ 122

    Ⅴ. 시사점과 정책 제안 ························································ 128 1. 평가와 시사점······································································ 128

    2. 정책 제안 ············································································· 136

    (1) 중국에서의 글로벌화, 현지화 강화 ································ 136

    (2) 대중국 산업별 차별화 정책 필요 ·································· 140

  • • 차례 •

    (3) 중국정부의 정책과 환율 변화를 적극 활용 ··················· 142

    (4) 차이나리스크에 대비한 모니터링 시스템 강화 ············· 146

    참고문헌 ···················································································· 148

  • • 표 차례 •

    중국의 수출입 추이········································································ 21

    외자기업의 수출입액 및 무역수지·················································· 25

    중국 수입에서의 부품소재산업 위상··············································· 28

    중국의 상위 10대 수입국가 ··························································· 30

    중국의 산업별 수입금액································································· 35

    중국의 투자 유치 추이··································································· 49

    중국 전체 및 대한국, 대일본, 대대만의 산업별 수입구성비············· 67

    중국의 대한국, 대일본, 대대만 수입집중도······································ 70

    중국의 대한국, 대일본, 대대만 산업별 무역수지(연평균) ················· 77

    중국의 대한국, 대일본, 대대만 산업내분업지수······························· 83

    중국 전기전자산업 상위 품목 수입 중 한, 일, 대만의 점유율 비교·· 87

    중국 전기전자의 대한국, 일본, 대만 상위 10대 수입 품목 비교······· 91

    중국 석유화학산업 상위 품목 수입 중 한, 일, 대만의 점유율 비교·· 94

    중국 석유화학의 대한국, 일본, 대만 상위 10대 수입 품목 비교······· 99

    중국 제1차금속산업 상위 품목 수입 중 한, 일, 대만의 점유율 비교· 101

    중국 제1차금속의 대한국, 일본, 대만 상위 10대 수입 품목 비교···· 105

    중국 정밀기기산업 상위 품목 수입 중 한, 일, 대만의 점유율 비교· 109

    중국 정밀기기의 대한국, 일본, 대만 상위 10대 수입 품목 비교····· 110

    중국 일반기계산업 상위 품목 수입 중 한, 일, 대만의 점유율 비교 114

    중국 일반기계의 대한국, 일본, 대만 상위 10대 수입 품목 비교····· 116

    중국 수송장비산업 상위 품목 수입 중 한, 일, 대만의 점유율 비교· 119

    중국 수송장비의 대한국, 일본, 대만 상위 10대 수입 품목 비교····· 121

    중국 섬유가죽산업 상위 품목 수입 중 한, 일, 대만의 점유율 비교· 124

    중국 섬유가죽의 대한국, 일본, 대만 상위 10대 수입 품목 비교····· 126

    중국의 대한국・일본・대만 수입 관련 요약표·································· 132

  • • 그림 차례 •

    중국의 대세계 수출입 점유 비중 변화 추이································· 20

    중국 수출입, 일인당 GDP 증가율 추이········································ 22

    중국 외자기업의 수출입 및 무역수지 흑자 비중 추이·················· 24

    중국 수출입, 부품소재 수출입 증가율 추이·································· 28

    중국의 주요 수입국가 점유율 추이·············································· 31

    중국의 주요 국가 무역수지 변화 추이········································· 33

    중국의 주요 산업별 수입비중 추이·············································· 36

    중국 수출입구조 변화 추이························································· 37

    중국의 산업별 무역수지 구조와 추이·········································· 39

    중국의 대한국, 일본, 대만의 수입비중 추이································· 43

    중국 수입과 대한국, 일본, 대만 수입증가율 추이························· 43

    중국의 대한국, 대만, 일본 수입 중 부품소재 수입 비중··············· 45

    한국, 대만, 일본의 중국 부품소재수입 점유율 추이····················· 46

    중국의 대한국・일본・대만 부품소재산업 무역수지 추이················· 48

    한국, 일본, 대만의 대중국 투자 건수 비중 추이·························· 51

    한국, 일본, 대만의 대중국 투자 금액 비중 추이·························· 53

    한, 일, 대만의 대중국 투자기업의 매입구조 비교························· 55

    중국에서의 투자와 수입 간의 상관계수······································· 59

    투자건수와 수입 간의 산업별 상관관계······································· 62

    투자금액과 수입 간의 산업별 상관관계······································· 64

    중국 및 대한국, 대일본, 대대만의 산업별 수입구성비 변동폭······ 68

    중국의 대일본 산업별 수입 집중도 변화······································ 70

    중국의 대대만 산업별 수입 집중도 변화······································ 72

    중국의 대한국 산업별 수입 집중도 변화······································ 73

    중국의 대한국, 대일본, 대대만 산업별 수입집중도 비교··············· 74

    중국, 대한국, 일본, 대만의 무역수지(2005~2007년 평균) ············· 79

    한국, 일본, 대만의 대중국 산업내분업지수(2005~2007년) ············· 83

    중국 전기전자 수입 중 한국・일본・대만 점유율 추이 비교············ 86

    중국 석유화학 수입 중 한국・일본・대만 점유율 추이 비교············ 93

  • • 그림 차례 •

    중국 제1차금속 수입 중 한국・일본・대만 점유율 추이 비교········ 100

    중국 정밀기기 수입 중 한국・일본・대만 점유율 추이 비교·········· 107

    중국 일반기계 수입 중 한국・일본・대만 점유율 추이 비교·········· 113

    중국 수송장비 수입 중 한국・일본・대만 점유율 추이 비교·········· 118

    중국 섬유가죽 수입 중 한국・일본・대만 점유율 추이 비교·········· 123

    산업별 중국의 대한국・일본・대만 수입의 수입점유율, 수입집중도

    변동폭 분산도··········································································· 135

    중국 내수시장 개척 방안··························································· 139

    중국 외환시장에서 주요 통화들의 위안화 대비 변화 추이·········· 145

  • 1

    □ 미국발 금융위기 이후 중국 수입시장에 대한 관심 고조

    ○ 2008년 베이징올림픽과 미국발 금융위기가 연이어 이어지면서

    중국 내수시장과 수입 여력에 대한 관심이 세계적으로 고조

    - 2008년 베이징올림픽이 1964년 도쿄올림픽이나 1988년 서울올

    림픽과 같이 내수시장 발전의 계기로 작용하면서 중국이 세계

    공장에서 세계시장으로 변신해 주기를 세계 경제가 기대

    - 특히 2008년 하반기 이후 미국발 금융위기로 인해 위축되고

    있는 미국, 유럽 등의 선진국 수입 수요를 중국이 대체해 세

    계 성장동력으로 역할해 주기를 희망

    ○ 중국정부 역시 4조 위안대의 대규모 내수부양책을 발표하는 등

    기존의 수출주도형 성장전략을 내수・수출 병존형 발전전략으로

    전환하고자 함.

    - 그러나 이러한 중국정부의 내수부양정책과 중국 위안화에 대

    한 한국 원화의 대폭적인 평가 절하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대

    중국 수출은 2008년 말부터 대폭적인 감소세를 보이고 있어

    그 원인에 대한 궁금증이 커지고 있는 상황

  • 2

    - 이에 따라 지금까지의 대중국 수출 구조와 특징은 물론 중국

    수입시장 자체가 갖고 있는 구조적 특징에 대해 보다 철저한

    이해와 연구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확산

    ○ 한편, 2001년 WTO 가입 이후 중국이 세계 조립공장으로 부상

    하면서 일본, 한국, 대만은 중국에 부품・소재를 수출하면서 중

    국의 3대 수입국으로 부상하였고, 상호 간에 강한 경쟁구조를

    보이고 있음.

    - 따라서 중국 수입시장과 한국의 대중국 수출 특징을 도출하기

    위해 중국 수입시장에서 한국과 일본, 대만의 공통점과 차이

    점이 무엇인가를 비교 분석해보는 것도 효율적 연구 방법 중

    하나

    - 이들 3국간 산업별, 품목별 경쟁구조 분석은 정부와 기업의

    대중국 내수시장 진출전략 수립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

    으로 기대

    □ 중국의 수입은 내수용보다는 수출용 원부자재가 절대적

    비중을 차지

    ○ 2008년 중국 수입규모는 미국, 독일에 이어 세계에서 세번째로

    1조 1,331억 달러를 돌파

    - 중국 수입이 세계 전체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00년

    3.4%에서 2007년 6.6%로 거의 두 배가 신장

  • 요 약 3

    - 2001년 중국의 WTO 가입을 계기로 다국적기업들이 중국을

    세계 공장으로 활용하면서 수출용 원부자재를 해외에서 조달

    하여 수입이 폭증

    - 그러나 중국의 일인당 수입액은 2007년 729달러에 불과하여

    세계 평균치인 2,174달러에 크게 미달하고 있어 앞으로도 중

    국의 수입 확대 잠재력은 매우 큰 편

    ○ 중국 전체 수입의 57.9%가 부품소재이며, 나머지도 석유(수입

    비중 10%)와 철광석, 농산물 등 자원성 물자들이며, 소비재가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아주 낮음.

    - 중국에 수입되는 부품소재들은 대부분 수출용 원부자재로 활

    용되며, 수입업체들도 중국계 기업들보다는 중국 현지의 외자

    기업들이 대부분

    ○ 중국의 산업별 수입구조 역시 수출구조를 반영하여 전기전자

    부품과 석유화학 소재에 완전 집중

    - 전기전자의 수입비중이 31.9%, 석유화학이 23.4%로 이들 두

    산업이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

    - 최근 중국의 수출구조가 디지털 가전제품으로 고도화되면서

    액정디바이스 등 정밀기기의 수입이 빠른 속도로 늘어나고 있

    는 반면, 섬유가죽 등은 중국의 수출이 둔화되면서 수입 증가

    율 역시 크게 둔화되고 있거나 심지어 품목에 따라 마이너스

    성장률도 보임.

  • 4

    - 산업별 무역수지에서 전기전자와 섬유가죽은 흑자로, 석유화

    학과 정밀기기는 적자로 고착화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음.

    □ 중국의 대한국, 일본, 대만의 수입구조와 특징

    ○ 중국 WTO 가입 이후 한국의 중국 수입시장 점유율은 현상을

    유지하고 있는 반면, 일본과 대만은 크게 감소하는 추세

    - 일본의 중국 수입시장 점유율은 2002년 18.1%에서 2007년

    14.0%로 4.1% 포인트 감소하였으며, 대만 역시 동기간 12.9%

    → 10.6%로 2.3% 포인트 감소

    - 한국의 중국 수입시장 점유율은 동기간 9.7%→ 10.9%로 오히

    려 1.2% 포인트 증가하였으나, 한국 역시 2005년을 정점으로

    감소하는 추세

    ○ 일본, 대만, 한국 모두 대중국 투자와 대중국 수출입 간에 강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투자 후 2년(대만은 3년)에 상관계

    수가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

    - 3국 모두 지리적 근접성을 배경으로 대중국 투자업체와 본국

    자회사 간 기업내 공정분업 또는 산업내 분업을 활발하게 진

    행하고 있으며, 대중국 투자가 대중국 수출입을 유발하고 있

    는 것으로 조사

    ○ 한국이 일본이나 대만과 달리 중국 수입시장 점유율을 유지하

    고 있는 주요 원인을 정리해보면, 첫째, 중국의 수출구조 고도

  • 요 약 5

    화에 적극 부응(액정디바이스 등)하면서 중국의 수출용 부품수

    출에서 경쟁력을 보이고 있고, 둘째, 새로운 산업에서 한국 기

    업들의 대중국 투자가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대중국 수입을 유

    발하고 있기 때문

    - 중소기업 중심의 대만은 2002년 이후 대중국 투자가 감소하면

    서 대중국 수출 유발요인이 약화되었지만, 한국의 경우에는

    자동차, 핸드폰, 액정디바이스 등 신규 산업에 대한 투자가 지

    속되면서 대중국 수출이 활발하게 진행

    ○ 일본, 대만의 대중국 수입 점유율이 감소하고 있는 또 다른 원

    인 중 하나는 현지 투자업체들의 현지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

    면서 자국으로부터 수입을 대체하고 있기 때문

    - 처음에는 본국에서 완제품을 수입하다가 동반 하청업체들이

    중국에 투자하면서 저부가가치 또는 노동집약적 부품부터 현

    지화를 진행

    - 3국 모두 시간이 지날수록 원부자재 조달의 현지화 비중이 낮

    아지고 현지 생산의 기술집약도나 부가가치가 높아지는 경향

    이 강함.

    - 따라서 대만이나 일본에 비해 대중국 투자 진출 시기가 늦은

    한국 역시 이러한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한국의 대중국

    수입 점유율이 2005년을 정점으로 낮아지고 있다는 것도 이와

    관련이 있을 수 있음.

  • 6

    □ 산업별 3국간 경쟁구조

    ○ 산업별 수입집중도를 살펴보면, 한국, 일본, 대만 모두 정밀기

    기, 전기전자, 제1차금속에서 높은 수입집중도를 보이고 있음.

    - 한국은 석유화학에서, 일본은 일반기계와 수송장비, 대만은 섬

    유가죽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수입집중도를 보이고 있음.

    ○ 한국, 일본, 대만의 대중국 3대 주력 수출산업을 비교해보면,

    3국 모두 전기전자와 석유화학을 포함하고 있으며, 한국과

    대만은 정밀기기, 일본은 일반기계를 각각 포함

    ○ 전기전자는 3국간 치열한 경쟁구조를 보여주고 있으며, 한국은

    메모리와 자기헤드 등에서, 대만은 비메모리와 인쇄회로기판에

    서, 일본은 콘덴서 등 전통적 전기전자 부품에서 강세를 보임.

    - 3국 모두 자국 계열의 대중국 투자업체들이 필요로 하는 부품

    을 수출하고 있으며, 일본의 경우에는 기술력을 바탕으로 중

    국기업을 대상으로 직접 수출하기도 함.

    ○ 석유화학은 한국이 비교우위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일본과 대

    만이 추격하는 구조로 내수용과 수출용에 모두 활용

    ○ 제1차금속, 일반기계, 정밀기기, 수송장비는 일본의 압도적 우위

    속에 품목에 따라 한국과 대만이 경쟁하는 구조

    - 일본은 고부가가치제품을, 한국과 대만은 중간 가격의 제품을,

    중국은 저부가가치제품을 생산하는 동북아 분업구조가 형성되

    고 있는 상황

  • 요 약 7

    - 정밀기기의 액정디바이스에서는 한국과 대만이 강력한 경쟁력

    을 나타내고 있는 반면, 일본은 취약한 면을 보이고 있음.

    - 일반기계 굴삭기에서는 한국은 중국에 투자하여 중국 내수시

    장 점유율이 높은 편이며, 일본은 대중국 투자보다는 대형 굴

    삭기를 중심으로 직접 수출함으로써 중국 수입시장 점유율이

    높은 편

    - 자동차는 일본과 한국이 중국에 대규모로 투자하여 동반 수출

    이 많은 편이나 대만은 완성차업체의 투자규모가 작아 중국

    부품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낮은 편

    ○ 섬유가죽은 3국 모두 10%대의 낮은 점유율을 나타내고 있으며,

    코딩 직물과 염색 직물은 한국과 대만이 경쟁구조를 보이고 있

    고, 비텍스처드 폴리에스터 직물은 3국이 경쟁상태를 보임.

    □ 종합적 평가 : 산업별 경쟁구조의 변화 추이

    ○ 2002~2007년 동안 중국 수입시장에서 점유율도 상승하고 수입

    집중도도 상승하여 경쟁력이 강화되고 있는 산업을 국가별로

    살펴보면, 한국은 전기전자, 정밀기기, 수송장비의 3개 산업이

    포함

    - 일본은 일반기계와 제1차금속의 2개, 대만은 정밀기기 1개가

    포함

    ○ 수입집중도와 중국 수입시장 점유율이 동시에 낮아지는 산업으

  • 8

    로 한국은 일반기계, 석유화학, 제1차금속, 섬유가죽의 4개, 일

    본은 섬유가죽, 전기전자, 정밀기기 3개, 대만은 섬유가죽, 일반

    기계, 석유화학, 수송장비, 제1차금속 5개씩을 포함

    ○ 따라서 한국은 일반기계, 석유화학, 제1차금속, 섬유가죽에 대한

    대중국 진출 현황을 체계적으로 검토해보고 보다 강력한 대중

    국 시장 진출 전략과 정부 지원책을 마련함이 바람직

    - 특히 일반기계와 제1차금속에서 일본은 한국과 반대로 오히려

    동태적 경쟁력이 강화되고 있어 이에 대한 심층적 연구가 필요

    □ 중국에서의 글로벌화, 현지화 강화

    ○ 중국 수입시장 점유율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대중국

    신규 산업, 특히 부품과 소재를 중심으로 꾸준히 개발하고 이를

    대중국 투자로 연계함이 바람직

    - 기업의 글로벌 전략 중심축으로서 중국 현지사업의 경쟁력을

    크게 강화할 필요성이 있음.

    - 과거 대만 사례에서 보듯 중국에 대한 투자 감소와 기술력 부

    족이 결국 중국 수입시장 점유율 저하로 나타났듯, 위기일수

    록 대중국 수출을 확대하기 위한 공격적 경영전략이 필요

    ○ 중국 현지기업과의 부품소재 조달 관계 형성에 노력

    - 부품소재 시장은 스팟마켓이 아닌 장기적 하청관계에 의해 형

    성되는 것으로 중국 현지기업과 거래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장

  • 요 약 9

    기적인 포석과 노력이 필요

    - 당장은 장기적 거래구조가 정착된 중국 토종기업들보다는 부

    품조달에서 가격과 품질을 우선시하는 외자기업들을 대상으로

    부품조달관계를 확대

    ○ 중국 토종기업들과 협력관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제품 공동개

    발부터 시작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엔지니어의 중국어 구사

    가 선행 조건

    - 부품소재에서 비교우위를 갖고 있는 한국 기업들과 조립가공

    이 강한 중국 업체들 간에 안정적인 부품조달 관계를 형성하

    기 위해서는 신제품 개발부터 공동으로 진행함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해서는 양국 기술자간, 기업간 제도적 네트워크 형성

    이 선행되어야 함.

    □ 대중국 산업별 차별화 정책 필요

    ○ 대중국 진출이 상대적으로 부진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 일반

    기계, 석유화학, 제1차금속, 섬유가죽에 대한 대중국 산업정책

    마련이 필요한 시점

    - 일반기계와 제1차금속은 대중국 진출에 가시적 성과를 거두고

    있는 일본을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음.

    ○ 한편, 중국의 수출구조 고도화가 첨단산업 중심으로 매우 빠르

    게 진행되면서 수입수요의 고도화를 유발하고 있어 이에 대한

  • 10

    대응책이 필요

    - 앞으로 중국의 수출 주력산업이 디지털가전, 승용차, 조선 등

    으로 고도화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수입 수요 역시 고기술,

    고부가가치 부품소재로 고도화될 전망

    ○ 중국은 이미 저부가가치, 범용제품 제조에서 벗어나 일부 프리

    미엄 제품과 응용 R&D 영역으로 진입하면서 한국과의 격차를

    좁히고 있어 이에 대한 대비책도 필요

    - 산업별 경쟁구조 비교에서 보았듯 일본은 고부가가치 제품에

    여전히 비교우위를 확보하고 있고, 한국과 대만은 중간 제품

    을, 중국은 저부가가치 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나 중국의 추격

    이 갈수록 빨라지고 있는 상황

    - 특히 중국기업들이 다국적기업과의 합작을 통한 선진기술 도

    입과 국내 교육수준의 급속한 향상, R&D 지출 확대 등을 통

    해 한국을 급격히 추격하고 있는 상황

    - 따라서 한국은 하이테크 산업을 중심으로 핵심 R&D와 글로

    벌 경영역량을 크게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액정디바이스와

    반도체의 중국시장 진출은 좋은 성공 사례로 타산업에서 벤치

    마킹할 필요가 있음.

    □ 중국정부의 정책과 환율 변화를 적극 활용

    ○ 최근 미국발 금융위기로 중국의 수출은 줄어들고 있는 대신 중

  • 요 약 11

    국정부의 강력한 내수정책으로 소비가 중국의 새로운 성장 동

    력으로 대두될 전망

    - 중국 정부는 사회안정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 강력한 내수부양

    정책을 실시하고 있으며, 향후 2년간 4조 위안(약 6,000억 달

    러)에 달하는 재정투입을 실시할 계획

    - 구체적 내역으로는 SOC 확충사업에 1조 5,000억 위안, 지진피

    해 복구비에 1조 위안, 서민생활 개선에 4,000억 위안, 농촌 주

    거여건 개선에 3,700억 위안, 기술혁신 산업구조조정에 3,700억

    위안, 에너지 절약, 생태환경 개선 2,100억 위안, 의료문화교육

    에 1,500억 위안 등 총 4조 위안

    - 따라서 중국정부의 내수부양정책에 따라 아래 산업들의 대중

    국 수출이 유망할 것으로 전망

    ∙철도, 도시건설, 항만 SOC 확충 : IT, 철강, 석유화학 등 소

    재산업

    ∙에너지 절약, 환경친화적 성장정책 : 원자력, 환경설비

    ∙농어촌 의료환경 개선 : 의료설비와 제약산업

    ∙기술혁신과 산업구조 고도화정책 : 미래산업과 핵심 부품산업

    ○ 일본 엔화나 대만 달러에 비해 중국 환율시장에서 한국 원화가

    치가 급격히 절하되고 있는 바 이를 대중 수출에 적절히 활용

    - 2008년초 대비 2008년말 중국 위안화 가치는 일본 엔화에 대

  • 12

    해서 9.2% 절하되었고, 대만 달러에 대해서도 1.4% 절하되었

    으나 한국 원화에 대해서는 무려 35.8%나 절상되면서 한국 가

    격경쟁력이 크게 제고

    - 따라서 우리와 강력한 경쟁관계를 보이고 있는 일본이나 대만

    에 비해 유리한 수출환경이 조성되고 있는 상황으로 이를 중

    국 내수시장 개척과 대중 수출확대에 적극 활용

    □ 차이나리스크에 대비한 모니터링 시스템 강화

    ○ 현재 중국에는 최소한 2만여 개의 우리 제조업체가 가동 중으

    로 중국에서의 실패는 국내 경제에도 심각한 악영향을 초래할

    우려

    ○ 기업 차원에서 중국 경제의 변화 요인에 따른 철저한 상시 점

    검 체제와 대응 시나리오를 마련해야 하며, 이에 대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을 강화할 필요

    - 최근 미국발 금융위기로 인해 국제원자재 가격이 급락하면서

    중국 내수시장의 원부자재와 부품가격도 요동을 치고 있는 바,

    중국기업들이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재고물량을 급격하게

    조정하면서 대중국 수출도 급격한 변화를 보이고 있는 등 차

    이나리스크가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는 상황

    - 중국 내수시장 가격동향과 수급추이를 예의 주시하면서 적절

    한 대응책을 강구하고 정부, 협회, 기업 내에 중국시장 모니터

    링팀을 상설로 운용하여 기업에 시의적절한 정보를 제공

  • 요 약 13

    - 특히 미국발 금융위기로 인해 중국의 수출 여건이 급격히 악

    화되면서 외국 투자기업들의 무단철수도 많아지고 있는 바 중

    국에 투자한 기업들이 적절한 시점에 합법적으로 철수를 할

    수 있도록 정부간 원활한 대화와 협력체계를 강화

  • 14

    Ⅰ. 연구 목적과 구성

    1. 연구 필요성과 목적

    ○ 2008년 베이징올림픽과 미국발 금융위기가 연이어 이어지면서

    중국 내수시장과 수입 여력에 대한 관심이 세계적으로 고조

    - 1964년 도쿄올림픽과 1988년 서울올림픽의 성공적 개최가 일

    본과 한국의 내수시장 활성화에 크게 이바지하였듯 2008년 베

    이징올림픽 역시 중국이 세계공장에서 세계시장으로 변신해

    주기를 세계 경제가 기대

    - 특히 2008년 10월부터 미국발 금융위기로 인해 미국, 유럽 등

    의 선진국 수입 수요가 크게 위축되면서 중국시장이 이를 대

    체해 주기를 희망

    ○ 중국정부 역시 4조 위안대의 대규모 내수부양책을 발표하는 등

    기존의 수출주도형 성장전략을 내수・수출 병존형 발전전략으로

    전환하고자 함.

    - 이러한 대규모 내수 부양책이 우리의 대중 수출을 유발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가 커지면서 중국 수입시장에 대한 관심과

    기대가 고조

  • Ⅰ. 연구 목적과 구성 15

    ○ 이러한 기대와 한국 원화의 중국 위안화에 대한 대폭적인 평가

    절하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대중국 수출은 2008년 말부터 대폭

    적인 감소세를 보이고 있어 그 원인에 대한 궁금증이 커지고

    있는 상황

    - 지금까지의 대중국 수출 구조와 특징은 물론 중국 수입시장

    자체가 갖고 있는 구조적 특징에 대해 보다 철저한 이해와 연

    구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확산

    ○ 한편, 2001년 WTO 가입 이후 중국이 세계 조립공장으로 부상

    하면서 2007년까지 한국의 대중국 수출이 폭발적으로 증가

    - 중국 WTO 가입 이후 중국의 투자환경이 개선되면서 외자기

    업들이 대거 중국에 공장을 설립하였고, 이들 기업들은 중국

    의 저렴한 생산비를 활용해 조립가공형 수출주도형 성장전략

    을 채택하면서 필요한 원부자재와 생산설비를 지리적으로 가

    까운 일본, 한국, 대만에서 조달

    - 이에 따라 한국, 일본, 대만은 중국의 3대 수입국으로 부상하

    였으며, 상호 간에는 강력한 경쟁관계를 시현

    ○ 따라서 중국 수입시장과 한국의 대중국 수출 특징을 도출하려

    면, 중국 수입시장에서 한국과 일본, 대만의 공통점과 차이점이

    무엇인가를 규명해보는 것이 효율적 연구 방법 중 하나

    -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대한국・일본・대만의 수입구조와 산업별

    경쟁관계를 비교 분석해 향후 바람직한 한국의 대중국 수출전

    략을 도출하는 것을 주요 연구 목적으로 설정함.

  • 16

    ○ 주요 연구 대상 기간은 중국 WTO 가입 후인 2002년부터 2007

    년까지 설정하고, 3국간 비교를 위해 통계는 가급적 중국 해관

    통계를 사용

    - 중국은 2001년 WTO 가입을 계기로 세계 공장 역할을 수행하

    면서 수출과 수입이 동반 폭증하고 있으며, WTO 가입 전과

    가입 후 수입 규모와 구조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음.

    ○ 한국, 일본, 대만의 대중국 수출 유발요인을 비교 분석해보고,

    특히 이들 3국의 중국 현지 투자기업들이 대중국 수출에서 어

    떤 역할을 하고 있는가를 분석해보면 한국의 대중국 수출의 특

    징을 파악하는 데 상당한 도움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

    - 중국 수입시장에서 한국, 일본, 대만이 산업별로 어떤 경쟁관

    계를 보이고 있는가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한국의 강점과 약점

    을 파악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대중국 수출전략을 마련

    - 3국간 산업별 동태적 경쟁구조 분석은 정부의 대중국 산업별

    전략 수립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중국 수입시장에서 한국, 일본, 대만의 품목별 경쟁구조 분석은

    기업 차원에서 많은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

    - 중국 수입시장에서 3국간 품목별 비교우위 분석은 우리 제품의

    정확한 위상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지피지기에

    바탕을 둔 합리적 기업책략 수립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

    - 구체적인 품목별 연구는 우리 정부와 기업이 중국의 산업 및

  • Ⅰ. 연구 목적과 구성 17

    수출구조 고도화에 대비해 한국의 대중 수출구조를 어떻게 고

    도화시켜 나갈 것인가에 대한 방향 정립에도 도움을 제공

    2. 연구 구성과 방법론

    ○ 제Ⅱ장은 도입 부분으로 중국 수입시장의 특징을 도출하는 것

    을 주요 목적으로 설정

    - 중국 수입 추이와 변화 요인, 수입시장 특징, 국가별, 산업별

    수입구조와 무역수지 등을 주로 문헌과 통계분석 중심으로

    분석

    - 국가별 분석을 통해서 한국, 일본, 대만이 중국 수입시장에서

    차지하고 있는 위상을 살펴봄.

    - 산업별 분석에서는 지식경제부와 산업연구원이 공유하고 있는

    HS 코드 10단위 산업품목 연계표를 바탕으로 중국과 일본, 대

    만을 동시에 비교할 수 있는 6단위 연계표로 전환하고 이를

    중국 산업별 수출입 구조 분석에 적용

    ○ 제Ⅲ장에서는 중국의 대한국, 일본, 대만의 수입 특징과 경쟁구

    조 변화추이를 분석

    - 한국, 일본, 대만의 대중국 수출 유발 요인과 특성 등을 주로

    문헌, 통계에 의존하여 분석

    - 중국의 대한국, 일본, 대만 수입이 이들 3국 기업들의 대중국

  • 18

    투자와 어떤 관계를 갖고 있는가를 규명하기 위해 한국, 일본,

    대만 중국 현지 투자기업들의 원부자재 조달 비중 비교, 산업

    별 투자와 수입간 상관계수 등을 도출

    - Grubel-Lloyd의 산업내분업지수 개념을 활용해 한국, 일본, 대

    만의 대중국 산업내 분업 활성화 정도를 산업별로 분석

    - 중국의 대한국, 일본, 대만의 산업별 수입구조 특성을 수입집

    중도 개념을 활용해 일목요연하게 분석

    ○ 제Ⅳ장에서는 중국의 대한국, 일본, 대만 수입의 산업별, 품목별

    경쟁구조를 분석

    - 한국, 일본, 대만의 주력 수출산업들인 전기전자, 석유화학, 정

    밀기기 등 7개 산업에 대해 각 산업별로 중국 수입 상위 품목

    들을 중심으로 한국, 일본, 대만의 수입 점유율을 비교 분석하

    고 이들 국가들의 비교우위와 비교열위를 기술

    - 각 품목별 분석에서는 산업연구원의 업종별 전문가들의 협조

    를 얻어 통계가 시사하는 바를 품목별 기술적 특성도 가미하

    여 입체적으로 분석

    ○ 제Ⅴ장에서는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로부터 도출한 시사점을 요

    약 정리하고 3국의 산업별 동태적 경쟁구조 변화추이를 도출

    - 이를 통해 대중국 산업별 차별화 전략, 투자정책, 내수시장 진

    출 방안 등 대정부, 대기업 정책과 전략을 제시

  • 19

    Ⅱ. 중국의 수입구조와 특징

    1. 수입 추이와 특징

    (1) 수입 위상과 발전 추이

    □ 세계 3위의 수입 대국으로 부상

    ○ 1990년 세계 수입순위 11위에 불과하였던 중국은 2000년 6위로

    도약한데 이어 2007년에는 미국, 독일에 이어 3위로 부상

    - 이에 따라 세계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 역시 1990년 1.8%에

    서 2000년에 3.4%, 2007년에는 6.6%로 크게 증가

    - 1992년 鄧小平의 ‘南巡講話’와 ‘사회주의 시장경제’로의 경제체

    제개혁 목표 설정에 따른 대내적 개혁정책 추진과 2001년

    WTO 가입에 의한 대외개방정책 강화 등이 수입 증가의 계기

    로 작용

    ○ 수입 금액은 1990년 534억 달러에서 2007년 9,563억 달러로 27

    년간 17.9배가 성장

    - 연평균 증가율은 1990~2007년간 18.5%를 기록하여 동기간 연

    평균 경제성장률 10.4%를 크게 상회

  • 20

    중국의 대세계 수출입 점유 비중 변화 추이

    단위 : %

    1990

    1.8

    1.5

    1.7

    1991

    2.1

    1.8

    1.9

    1992

    2.3

    2.1

    2.2

    1993

    2.5

    2.7

    2.6

    1994

    2.8

    2.7

    2.8

    1995

    2.9

    2.6

    2.7

    1996

    2.8

    2.6

    2.7

    1997

    3.3

    2.5

    2.9

    1998

    3.3

    2.5

    2.9

    1999

    3.4

    2.8

    3.1

    2000

    3.9

    3.4

    3.7

    2001

    4.3

    3.8

    4.1

    2002

    5.1

    4.5

    4.8

    2003

    5.8

    5.3

    5.6

    2004

    6.5

    5.9

    6.2

    2005

    7.4

    6.1

    6.7

    2006

    8.1

    6.4

    7.2

    2007

    8.8

    6.6

    7.7

    수출

    수입

    교역

    10.0

    9.0

    8.0

    7.0

    6.0

    5.0

    4.0

    3.0

    2.0

    1.0

    0

    자료 : IMF.

    - 그 중 1990~2000년간 수입 연평균 증가율은 15.5%인 반면,

    중국 WTO 가입 후인 2001~2007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25.6%

    로 WTO 가입이 중국 수입 증가에 호재로 작용하였음을 보여

    줌.

    ○ 한편, 1990년 이후 연평균 수입증가율이 수출증가율(19.1%)을

    하회하면서 무역수지는 대규모 흑자를 기록

    - 중국 무역수지 흑자규모는 1990년 87억 달러에서, 2000년 241

    억 달러, 2007년 2,619억 달러 등으로 매년 확대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

  • Ⅱ. 중국의 수입구조와 특징 21

    중국의 수출입 추이

    단위 : 억 달러, %

    수출 수입무역수지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1990 621 18.2 534 -9.8 87

    1995 1,488 22.9 1,321 14.2 167

    2000 2,492 27.7 2,251 35.8 241

    2005 7,623 28.4 6,602 17.7 1,021

    2006 9,693 27.2 7,918 19.9 1,775

    2007 12,182 25.7 9,563 20.8 2,619

    자료 : 중국해관통계.

    ○ 그러나 일인당 수입액은 2007년 기준 729달러로 세계 평균치인

    2,174달러에 크게 미달하여 앞으로도 발전 여지가 매우 크다고

    볼 수 있음.

    - 2007년 일인당 수입액이 인도는 195달러, 브라질은 507달러,

    러시아는 1,566달러를 각각 기록하여 BRICs 중 중국은 가운데

    에 위치

    (2) 수입시장 특징

    ○ 조립식 수출가공 위주의 발전전략에 따라 중국 수입의 특징은

    아래 세 가지로 정리 가능

  • 22

    ① 소득보다는 수출에 의존하는 수입

    ○ 일반적으로 수입은 해당 국가의 소득 수준에 영향을 받는 것으

    로 간주되고 있으나 중국의 경우에는 그 영향력이 미미하고 수

    출의 영향력이 훨씬 강함.

    - 이는 2001년 WTO 가입 이후 중국이 조립가공식 수출주도형

    성장전략을 채택하면서 부품소재를 중심으로 대규모 수입수요

    가 발생

    - 즉 중국의 수출구조는 1990년대 섬유산업 등 노동집약적 산업

    에서 2000년대 전자산업 중심으로 빠르게 고도화되었으나 이

    와 관련된 부품과 소재산업들의 국산화는 충분히 이룩하지 못

    중국 수출입, 일인당 GDP 증가율 추이

    단위 : %50.0

    40.0

    30.0

    20.0

    10.0

    0

    -10.0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수 출 수 입 일인당 GDP

    자료 : 중국통계연감, 중국해관통계.

  • Ⅱ. 중국의 수입구조와 특징 23

    해 조립산업과 부품산업 간 시차가 발생

    ○ 이에 따라 중국 수입증가율은 소득증가율보다는 수출증가율과

    더 강력한 동조현상을 보임.

    - 1990~2007년간 중국 수출과 수입 간의 상관관계는 0.99를 기

    록하여 거의 일치한 상태를 나타냄.

    - 반면,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동 기간 일인당 GDP와 수입

    간의 상관관계는 0.52로 비교적 낮은 수치를 기록

    ② 외자기업에 의한 조립가공 수출구조가 수입을 유발

    ○ 중국 WTO 가입 이후 투자환경이 크게 개선되면서 저렴한 중

    국의 생산비를 활용하기 위해 미국, 유럽, 일본 등 선진국과 한

    국, 대만, 홍콩, 싱가포르 등 인접 국가 기업들이 중국에 생산기

    지를 구축

    - 이들 외자기업들은 원부자재를 수입하여 중국에서 조립가공한

    후 해외로 수출하면서 중국 교역에서 주도적 역할을 차지하였

    고 이들 덕분에 중국은 단기간에 세계 교역대국으로 부상

    - 2007년 외자기업들이 중국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7.1%,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8.5%로 과반수 이상의 수출입을

    나타냄.

  • 24

    중국 외자기업의 수출입 및 무역수지 흑자 비중 추이

    단위 : %70.0

    60.0

    50.0

    40.0

    30.0

    20.0

    10.0

    02002

    54.3

    57.2

    31.8

    2003

    56.1

    54.8

    33.2

    2004

    57.9

    57.0

    42.8

    2005

    58.7

    58.3

    55.6

    2006

    58.7

    58.2

    51.4

    2007

    58.5

    57.1

    52.0

    2008.1~8

    54.2

    55.5

    62.5

    수입

    수출

    무역수지

    자료 : 중국해관통계.

    ○ 그러나 외자기업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05년 58.3%를

    정점으로 계속 줄어들고 있으며 2008년(8월말 기준)에는 55.5%

    로 축소

    - 2006년부터 중국정부가 과다한 무역수지 흑자 등을 이유로 최

    저임금제 강화, 노조설립 장려, 4대보험제 강제 시행, 수출가

    공무역 억제, 기업소득세 우대 폐지 등 반외자기업 정책을 취

    하고 있음.

    - 이에 따라 외자기업이 중국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 역시

    2006년 59.7%를 정점으로 줄어들고 있으며, 최근 중국내 부품

  • Ⅱ. 중국의 수입구조와 특징 25

    산업과 소재산업이 빠른 발전을 나타내면서 비중 감소율이 수

    출보다 더 급감하는 추세

    ○ 한편, 이들 외자기업들이 큰 폭의 무역수지 흑자를 창출하면서

    위안화 절상에 원인을 제공하고 있으며, 위안화가 절상되는 과

    정에서 경쟁력이 취약한 중국계의 노동집약적 중소기업들이 대

    규모 도산하면서 이제 외자기업 흑자 창출은 중국경제 정책의

    최대 쟁점 중의 하나로 등장

    - 외자기업들이 중국 무역수지 흑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02

    년 31.8%에서 2008년(8월말 기준)에는 62.5%까지 상승

    ○ 외자기업 투자(공장 신규 설립 또는 확장)로 인해 유발되는 자

    체 생산설비 수입 규모는 2002년 171억 달러로 전체 수입의

    10.7%를 차지하였으나, 2007년에는 259억 달러를 기록하여 그

    비중이 4.6%로 낮아짐.

    외자기업의 수출입액 및 무역수지

    단위 : 억 달러

    수입 수출 교역액 무역수지 자체설비수입

    2002 1,603 1,699 3,302 97 171

    2003 2,319 2,403 4,723 84 210

    2004 3,246 3,386 6,632 141 312

    2005 3,875 4,442 8,317 567 277

    2006 4,726 5,638 10,365 912 278

    2007 5,594 6,955 12,549 1,361 259

    2008.1~8 4,256 5,205 9,461 950 191

    자료 : 중국해관.

  • 26

    - 자체 설비 수입 규모는 2004년 312억 달러를 정점으로 매년

    금액이 감소하는 추세에 있으며, 이는 중국 기계설비산업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음.

    ③ 부품소재 위주의 수입 구조

    ○ 중국 부품소재 수입금액은 2002년 1,772억 달러에서 2007년

    5,533억 달러로 증가하였으나 부품소재가 전체 수입에서 차지하

    는 비중은 2002년 60%에서 2007년에는 57.9%로 낮아짐.

    - 그러나 동 기간 원유를 비롯한 철광석, 구리 등 국제 원자재

    가격의 상승으로 인해 이들 분야의 수입 비중이 크게 증가하

    였음을 감안하면, 실제 부품소재의 수입 위상은 여전히 높은

    수준

    - 2002~2007년간 중국 부품소재 수입금액의 연평균 증가율은

    25.6%로 전체 수입의 26.5%보다 0.9% 포인트 낮은 수치를

    기록

    - 참고로 원유와 석유수입 규모는 2002년 166억 달러에서 2007

    년에는 960억 달러로 5.8배가 증가하여 원유와 석유가 전체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 역시 5.6%에서 10%로 증가

    ○ 한편, 섬유, 전자, 철강, 석유화학, 자동차산업 등에서는 부품소

    재의 국산화가 빠르게 진행

    - 전자와 자동차, 석유화학산업 등 하이테크기술 산업의 경우에

  • Ⅱ. 중국의 수입구조와 특징 27

    는 먼저 투자한 다국적기업 업체의 하청기업들이 중국에 동반

    진출하면서 외자기업을 중심으로 부품산업이 발전하고 있는

    상황

    - 섬유와 철강 등에서는 중국기업들을 중심으로 부품 국산화가

    진행되고 있고, 특히 철강산업은 동기간 수입산업에서 수출산

    업으로 변신

    ○ 부품소재산업의 중국내 대량생산 체제 구축을 계기로 부품소재

    산업의 수출산업화도 빠른 속도로 진행

    - 2002~2007년간 중국 전체 수출 연평균증가율이 30.2%를 기록

    한 반면, 부품소재 수출증가율은 33.2%를 기록해 최근 중국의

    부품소재산업의 수출이 더 빠른 속도로 진행 중임을 시사

    - 부품소재가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 역시 2002년 37.1%

    에서 2007년에는 41.6%로 증가

    ○ 중국은 전형적으로 주변 국가에서 부품소재를 수입해 자국의

    값싼 생산비를 활용해 임가공 내지는 조립형 수출구조를 갖고

    있으므로 전체 무역수지는 대규모 흑자를 기록하고 있지만 부

    품소재산업의 무역수지는 적자를 기록

    - 2007년 전체 무역수지는 2,619억 달러의 흑자를 기록한 반면,

    부품소재의 무역수지는 468억 달러의 적자를 기록

    - 그러나 부품소재산업의 적자 규모는 2004년 881억 달러를 정

    점으로 매년 대폭 감소하고 있으며, 2007년에는 468억 달러

    를 기록

  • 28

    중국 수입에서의 부품소재산업 위상

    단위 : 억 달러, %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수입 금액 2,953 4,131 5,608 6,602 7,918 9,563

    부품소재

    수입

    금액 1,772 2,486 3,322 3,932 4,700 5,533

    비중 60.0 60.2 59.2 59.6 59.4 57.9

    수출 금액 3,256 4,385 5,936 7,623 9,693 12,182

    부품소재

    수출

    금액 1,208 1,668 2,441 3,164 4,157 5,065

    비중 37.1 38.0 41.1 41.5 42.9 41.6

    무역수지 금액 303 254 328 1,021 1,775 2,619

    부품소재

    수지금액 -564 -818 -881 -768 -543 -468

    자료 : KOTIS.

    중국 수출입, 부품소재 수출입 증가율 추이

    50

    45

    40

    35

    30

    25

    20

    15

    10

    5

    02003

    39.9

    40.3

    34.6

    38

    2004

    35.8

    33.7

    35.4

    46.4

    2005

    17.7

    18.4

    28.4

    29.6

    2006

    19.9

    19.5

    27.2

    31.4

    2007

    20.8

    17.7

    25.7

    21.8

    수입증가율

    부품수입

    수출증가율

    부품수출

    자료 : KOTIS.

  • Ⅱ. 중국의 수입구조와 특징 29

    - 이는 중국 부품소재산업의 국산화가 빠른 속도로 진척되고 있

    음을 다시 한 번 보여주고 있는 것

    ○ 한편, 중국이 조립가공형 수출주도형 구조를 갖고 있음에 따라

    부품소재 수입 증가율은 수출 증가율에 크게 영향을 받으면서

    동조화 현상을 보여주고 있음.

    - 임가공 형태의 수출구조로 인해 중국의 수입은 수출에 영향을

    받고 있으며, 부품소재 역시 마찬가지 현상을 보이고 있음.

    2. 국가별 수입구조와 무역수지

    (1) 국가별 수입구조

    □ 부품소재 수입 국가가 상위 수입국가

    ○ 중국의 최대 수입국가는 일본으로 2007년 기준 1,339억 달러를

    수입해 전체 수입의 14%를 차지

    - 그러나 수입비중이 2002년의 18.1%에 비해서는 무려 4.1% 포

    인트가 감소한 것으로 일본으로부터의 수입 위상은 갈수록 줄

    어들고 있는 상황

    ○ 수입 2위 국가는 한국으로 2005년 대만을 추월해 2위 국가로

    부상하였으며, 2007년 수입액이 1,040억 달러를 기록해 전체 수

    입의 11.3%를 차지

  • 30

    - 한국의 수입 비중은 2002년 9.2%에서 2007년 10.9%로 1.2%

    포인트가 증가하였으며, 필리핀과 더불어 상위 10대 국가 중

    수입 비중이 대폭 증가한 국가 중 하나로 지난 5년간 한국의

    대중국 진출이 활발하였음을 보여 줌.

    ○ 수입 상위 10대 국가 중 지난 5년간 수입 비중이 상승한 국가

    는 필리핀, 한국, 호주, 태국 등 4개국

    - 이 중 필리핀과 태국 등은 중국과 FTA 체결로 관세가 낮아

    지면서 농산물과 전자부품 등으로 수입이 증가하였으며, 한

    국은 대중국 투자 확대로 인해 기업내 무역이 활성화되면서

    중국의 상위 10대 수입국가

    단위 : 억 달러, %

    순위 국가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증가율

    1 일본 535 742 942 1,005 1,158 1,339 20.1

    2 한국 286 432 622 769 898 1,040 29.5

    3 대만 381 494 648 747 871 1,010 21.5

    4 미국 272 339 447 487 592 699 20.7

    5 독일 164 244 302 307 379 454 22.5

    6 말레이시아 93 140 182 201 236 287 25.3

    7 호주 59 73 115 161 192 258 34.5

    8 필리핀 32 63 91 129 177 231 48.4

    9 태국 56 88 115 140 180 227 32.3

    10 러시아 84 97 121 159 175 196 18.5

      소계 1,962 2,712 3,583 4,104 4,858 5,741 24.0

      총액 2,953 4,131 5,608 6,602 7,918 9,563 26.5

    자료 : KOTIS.

    주 : 증가율은 2002~2007년간 연평균 증가율을 의미.

  • Ⅱ. 중국의 수입구조와 특징 31

    수입이 증가하고 있고, 호주는 철광석 가격이 급등하면서 수입

    액이 증가

    ○ 반면, 일본, 대만, 미국, 독일, 러시아, 말레이시아 등은 수입 비

    중이 줄어들고 있는 추세

    - 일본과 독일 등은 자동차나 전자 조립업체 하청기업들의 대중

    국 투자가 진행되면서 수입을 대체

    - 대만은 대중국 신규 투자 위축으로 인해 수출유발 요인이 줄

    어들고 있고 기존 투자업체들의 현지화가 진행되면서 본국으

    로부터 수입을 대체하고 있기 때문

    ○ 중국의 상위 10개국 수입 비중은 2002년 66.4%에서 2007년에는

    중국의 주요 수입국가 점유율 추이

    20.0

    18.0

    16.0

    14.0

    12.0

    10.0

    8.0

    4.0

    2.0

    0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일본 한국 대만 미국 독일

    일본, 14.0

    한국, 10.9

    대만, 10.6

    미국, 7.3

    독일, 4.7

    자료 : KOTIS.

  • 32

    60%로 감소하여 시간이 지날수록 상위 국가의 수입집중도가

    분산되어 가고 있음.

    ○ 국가별 수입에서도 제품 차별화가 뚜렷한데, 중국은 일본, 한국,

    대만으로부터는 부품과 소재를, 일본, 독일, 미국으로부터는 생

    산재를, 말레이시아, 호주, 필리핀, 태국, 러시아로부터는 자원과

    농산물을 주로 수입

    (2) 국가별 무역수지

    □ 무역수지 흑자와 적자 창출국이 고착화

    ○ 중국은 무역수지에서 홍콩, 미국, 네덜란드, 영국, 싱가포르에

    대해서는 흑자를 창출하고 있으며, 대만, 한국, 일본, 필리핀, 인

    도네시아에 대해서는 적자를 기록

    - 중국은 대만, 한국, 일본 등에서 수출용 원부자재와 설비를 수

    입하여 미국, 유럽 등지에 완제품을 수출하는 구조를 갖고 있

    기 때문, 이 중 홍콩과 네덜란드는 중개무역 지역

    ○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들 국가에 대해서 시간이

    지날수록 흑자폭과 적자폭이 확대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 등

    구조적으로 고착화되고 있는 상황

    - 대만에 대한 적자는 2002년 315억 달러에서 2007년 775억 달러

    로 확대되었고, 동기간 한국 역시 131억 달러→479억 달러, 일

    본 50억 달러→318억 달러 등으로 적자 폭이 지속적으로 확대

  • Ⅱ. 중국의 수입구조와 특징 33

    중국의 주요 국가 무역수지 변화 추이

    단위 : 억 달러2,000

    1,500

    1,000

    500

    0

    -500

    -1,000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315

    -775

    -131

    -479

    -50

    -318

    477

    1,715

    425

    1,629

    75

    365

    47

    239

    대만 한국 일본 홍콩 미국 네덜란드 영국

    자료 : KOTIS.

    - 동 기간 홍콩에 대한 흑자는 477억 달러→ 1,715억 달러, 미국

    425억 달러→ 1,629억 달러 등으로 역시 일관되게 확대되면서

    흑자 구조가 정착

    ○ 중국의 입장에서 볼 때, 특수한 지역인 홍콩과 대만에 대한 무

    역수지는 정 반대의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

    - 홍콩은 선진국과 통상마찰을 회피하기 위해 수출기지 역할을

    부여하고 있으며, 대만에 대해서는 통일전략 차원에서 수입시

    우대를 부여하는 등 홍콩은 수출에 특화, 대만은 수입에 특화

    해 나가고 있음.

  • 34

    - 2007년 홍콩이 중국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5.1%를 차지

    하고 있는 반면, 수입 비중은 1.3%에 불과하여 홍콩에 대해

    1,715억 달러의 흑자를 창출

    - 반대로 대만이 중국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0.6%인 반면,

    수출비중은 1.9%에 불과하여 대만에 대해 775억 달러의 적자

    를 기록

    3. 산업별 수입구조와 무역수지

    (1) 산업별 수입구조

    □ 편중된 산업별 수입구조 갈수록 심화

    ○ 2007년 중국의 산업별 수입구조를 살펴보면, 전기전자가 3,052

    억 달러로 전체의 31.9%를 차지하였으며, 다음은 석유화학이

    2,240억 달러로 23.4%를 차지해 이들 두 산업이 과반수를 넘

    어 중국의 수입구조가 상당히 편중되어 있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음.

    - 이러한 이유는 중국의 무역형태가 가공무역(전체의 50% 이상

    을 차지) 위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

    - 중국의 전기전자 산업은 외자기업들의 수출점유 비중이 높은

    전형적인 조립가공형태의 산업구조를 보이고 있으며 이에 따

    라 부품수입 비중이 높은 편

  • Ⅱ. 중국의 수입구조와 특징 35

    - 석유화학은 전기전자, 섬유, 생활용품 산업의 수출용, 내수용

    에 모두 활용되면서 높은 수치의 수입비중을 기록

    - 제1차금속(8.3%), 정밀기기(7.7%), 일반기계(6.7%)가 비슷한

    수입 점유 비중을 보이고 있으며, 수송장비(5.5%)와 섬유가죽

    (3.5%)은 낮은 비중치를 기록

    ○ 2002~2007년간 각 산업별로 연평균 수입증가율을 비교해보면,

    정밀기기가 40.4%로 가장 빠른 신장세를 나타냈으며, 석유화학

    (29.3%), 전기전자(26.7%)가 전체 평균치(26.5%)를 상회

    - 정밀기기는 주로 액정디바이스 중심으로 수입되고 있으며 중

    중국의 산업별 수입금액

    단위 : 억 달러, %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증가율

    섬유가죽 209 239 287 295 327 332 9.7

    제1차금속 259 391 485 569 605 793 25.1

    석유화학 620 838 1,219 1,517 1,887 2,240 29.3

    수송장비 191 279 342 348 474 526 22.5

    정밀기기 125 237 377 472 550 681 40.4

    일반기계 280 375 478 472 525 643 18.1

    전기전자 933 1,325 1,758 2,142 2,649 3,052 26.7

    기타 336 448 662 787 900 1,297 31.0

    총합계 2,953 4,131 5,608 6,602 7,918 9,563 26.5

    자료 : KOTIS.

    주 : 증가율은 2002~2007년간 연평균 증가율을 의미.

  • 36

    국의 디지털가전, 핸드폰, 노트북을 비롯한 전기전자 산업의

    수출용, 내수용에 모두 사용

    - 섬유가죽은 9.7%로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냈으며, 일반기계

    (18.1%)도 평균치를 하회하는 등 비교적 부진한 증가율을 기록

    ○ 2002~2007년간 수입 점유비중 증감치를 비교해보면, 정밀기기

    (2.9% 포인트)와 석유화학(2.4% 포인트), 전기전자(0.3% 포인

    트)의 점유비중이 증가세를 보인 반면, 섬유가죽(-3.6% 포인트)

    과 일반기계(-2.8% 포인트), 수송장비(-1.0% 포인트), 제1차금

    속(-0.5% 포인트)은 감소세를 시현

    - 섬유가죽은 수출 비중이 낮아지면서 수입 비중도 동반 감소세

    를 시현

    중국의 주요 산업별 수입비중 추이

    20035.85.720.332.1

    20045.15.720.332.1

    20054.57.223.032.4

    20064.16.923.833.5

    20073.57.123.431.9

    섬유가죽정밀기기석유화학전기전자

    단위 : %40.535.030.025.020.015.010.05.00 2002

    7.14.221.031.6

    자료 : KOTIS.

  • Ⅱ. 중국의 수입구조와 특징 37

    - 일반기계와 수송장비는 중국정부의 국산화 정책에 따라 외자

    기업들의 투자가 크게 증가하면서 국산화율이 제고되고 있기

    때문에 수입 비중이 감소

    - 제1차금속은 철강을 중심으로 중국의 생산능력이 크게 증가하

    고 있기 때문에 수입수요가 감소(중국 조강생산능력 2000년

    1억 3,000만톤에서 2007년 4억 9,000만톤으로 증가)

    □ 수출구조가 편중되면서 수입구조도 편중 심화

    ○ 산업별 수입구조를 수출구조와 함께 방사선 형태로 중첩해 살

    펴보면, 중국의 수입구조가 특정 산업에 매우 집중되어 있는 가

    운데 시간이 갈수록 더 집중화되고 있는 양상을 나타냄.

    - 2002년까지 섬유산업의 수출비중은 24.8%로 전기전자와 더불

    중국 수출입구조 변화 추이

    수입 수출

    섬유가죽

    전기전자 제1차금속

    일반기계 석유화학

    정밀기기 수송장비

    40

    30

    20

    10

    0

    2002년

    수입 수출

    섬유가죽

    전기전자 제1차금속

    일반기계 석유화학

    정밀기기 수송장비

    40

    30

    20

    10

    0

    2007년

    자료 : KOTIS.

  • 38

    어 수출 견인의 쌍두마차로 역할을 하였으나 2007년에는 견인

    력이 현저히 약화

    ○ 따라서 중국의 수출구조는 마름모꼴에서 삼각형으로 전환되었

    으며, 특히 2002년에 비해 2007년 중국의 수출구조가 전기전자

    위주로 집중되면서 중국의 수입구조 역시 전기전자 위주로 집

    중되는 대신 섬유산업에 대한 비중은 현저히 감소

    (2) 산업별 무역수지

    □ 산업별로 무역수지 흑자와 적자가 고착화

    ○ 중국의 국가별 무역수지 구조가 국가별로 흑자, 적자로 고착화

    되듯, 산업별 무역수지도 산업별로 흑자산업, 적자산업으로 고

    착화되고 있는 모습을 시현

    ○ 가장 큰 폭의 흑자를 창출하고 있는 산업은 섬유가죽산업으로

    흑자규모가 2002년 597억 달러에서 2007년에는 1,796억 달러로

    5년간 1,199억 달러가 증가

    - 전자산업의 흑자폭도 대폭 커지는 추세로 흑자 규모가 2002

    년 138억 달러에서 2007년에는 1,458억 달러로 1,320억 달러

    가 증가

    ○ 반면, 석유화학과 정밀기기 산업의 적자폭은 계속 확대되는

    추세

  • Ⅱ. 중국의 수입구조와 특징 39

    중국의 산업별 무역수지 구조와 추이

    2,000

    1,500

    1,000

    500

    0

    -500

    -1,000

    -1,500

    억 달

    전기전자

    138

    270

    521

    840

    1,147

    1,458

    석유화학

    -338

    -476

    -755

    -875

    -1,116

    -1,258

    제1차금속

    -78

    -152

    -68

    -24

    215

    323

    정밀기기

    -57

    -134

    -219

    -252

    -284

    -308

    일반기계

    -153

    -202

    -228

    -139

    -67

    189

    수송장비

    -71

    -104

    -102

    -21

    -25

    119

    섬유가죽

    597

    767

    922

    1,166

    1,470

    1,796

    기타

    266

    285

    258

    327

    435

    300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자료 : KOTIS.

    - 석유화학 적자 규모는 2002년 338억 달러에서 2007년 1,258억

    달러로 지난 5년간 적자폭이 920억 달러 증가

    - 정밀기기 적자 규모도 2002년 57억 달러에서 2007년 308억 달

    러로 증가하여 적자폭이 251억 달러 증가

    ○ 한편, 제1차금속과 일반기계, 수송장비는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

    하여 순수입 산업이 순수출 산업으로 위상이 변화

    - 제1차금속은 2002년 78억 달러의 적자에서 2006년 흑자로 전

    환되었고, 2007년 323억 달러의 흑자를 기록

  • 40

    - 일반기계는 2002년 153억 달러의 적자에서 2007년 흑자로 전

    환되어 189억 달러의 흑자를 기록

    - 수송장비 역시 2002년 71억 달러의 적자에서 2007년 흑자로

    전환되어 119억 달러의 흑자를 기록

  • 41

    Ⅲ. 중국의 대한국・일본・대만의 수입 위상과 경쟁구조 분석

    1. 중국의 대한국・일본・대만의 수입 추이와 특징

    (1) 대한국・일본・대만의 수입 추이와 위상□ 한국을 제외한 일본, 대만의 수입 점유비중 지속적으로

    하락

    ○ WTO 가입 이후 중국이 세계 조립공장 역할을 담당하는 과정

    에서 지리적으로 인접한 일본(수입 순위 1위), 한국(2위), 대만

    (3위)은 중국에 생산설비와 부품소재를 제공하면서 중국의 3대

    수입국가로 위상을 확고히 하고 있음.

    - 그러나 이들 3국이 중국 전체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02

    년 40.7%에서 2007년 35.4%로 5.3% 포인트가 감소하는 등 지

    속적인 감소세를 보이고 있음.

    - 비중 감소 원인은 첫째, 동 기간 원유, 철광석, 구리 등 국제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면서 중국 수입에서 자원의 비중이 상대

    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며, 둘째, 중국과 아세안 간의 FTA 체

    결을 계기로 아세안으로부터 수입이 증가하는 등 중국의 수입

  • 42

    선 다변화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

    ○ 대일본 수입액은 2002년 535억 달러에서 2007년 1,339억 달러로

    증가하여 연평균 20.1%의 증가율을 기록하였으나 동기간 중국

    전체 수입의 연평균 증가율치인 26.5%보다는 낮은 수치를 보이

    고 있음.

    - 이에 따라 대일본 수입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2년 18.1%에서

    2007년 14%로 4.1% 포인트가 감소

    - 중국 수입시장 수요가 전기전자와 정밀기기 위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일본은 한국이나 대만만큼 대응을 하지 못하였기

    때문

    ○ 대한국 수입액은 2002년 285억 달러에서 2007년에는 1,040억 달

    러로 증가하여 연평균 29.5%의 증가율을 기록하여 일본, 대만

    은 물론 중국 전체 수입의 연평균 증가율을 상회

    - 이에 따라 대한국 수입 비중은 2002년 9.7%에서 2007년

    10.9%로 증가하여 3국 중 유일하게 비중이 증가

    - 한편, 대한국 수입 순위는 2002년 3위에서 2005년에는 대만을

    추월하여 2위로 부상하였으며, 이후 일본에 이어 2위를 계속

    유지하고 있는 상황

    - 대한국 수입이 증가한 배경은 전기전자, 정밀기기, 수송장비

    등에서 한국기업들의 대중국 투자가 증가하면서 이들 중국 현

    지 투자기업들을 중심으로 양국간 기업내 무역이 활성화되었

    기 때문

  • Ⅲ. 중국의 대한국・일본・대만의 수입 위상과 경쟁구조 분석 43

    중국의 대한국, 일본, 대만의 수입비중 추이

    45.0

    40.0

    35.0

    30.0

    25.0

    20.0

    15.0

    10.0

    5.0

    02002

    18.1

    9.7

    12.9

    40.7

    2003

    18.0

    10.4

    11.9

    40.4

    2004

    16.8

    11.1

    11.5

    39.4

    2005

    15.2

    11.6

    11.3

    38.2

    2006

    14.6

    11.3

    11.0

    37.0

    2007

    14.0

    10.9

    10.6

    35.4

    일본

    한국

    대만

    합계

    단위 : %

    자료 : KOTIS.

    중국 수입과 대한국, 일본, 대만 수입증가율 추이

    60

    50

    40

    30

    20

    10

    02003

    38.7

    51

    29.6

    39.9

    2004

    26.9

    44

    31.2

    35.8

    2005

    6.7

    23.7

    15.3

    17.7

    2006

    15.3

    16.8

    16.7

    19.9

    2007

    15.6

    15.8

    15.9

    20.8

    일본

    한국

    대만

    중국

    단위 : %

    자료 : KOTIS.

  • 44

    - 그러나 대한국 수입이 중국 전체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05년 11.6%를 정점으로 이후 계속 하향하는 추세를 나타내

    주의를 촉구

    ○ 대대만 수입액은 2002년 381억 달러에서 2007년 1,010억 달러로

    연평균 21.5%씩 증가하였으나 일본과 마찬가지로 중국 전체 수

    입 연평균 증가율을 하회

    - 이에 따라 대대만 수입이 전체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 역시

    2002년 12.9%에서 2007년 10.6%로 2.3% 포인트가 감소

    - 대대만 수입 비중이 감소한 이유는 중소기업 위주의 대만 산

    업이 중국의 교역구조 고도화에 대응을 제대로 못하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 대만기업들의 대중국 투

    자가 점차 줄어들면서 신규 투자에 의한 수입 유발효과가 줄

    어들고 있기 때문

    - 또한 중소기업 위주의 대만 투자기업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중

    국 현지화 비율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본국으로부터

    수입도 계속 감소하고 있는 추세

    (2) 부품소재 중심의 수입구조

    □ 중국 부품소재 조달기지로서의 한국, 대만, 일본

    ○ 2007년 부품소재가 중국 전체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7.9%

    였으나, 대만은 84.3%, 한국은 78.6%, 일본은 69.9%로 이들 3국

  • Ⅲ. 중국의 대한국・일본・대만의 수입 위상과 경쟁구조 분석 45

    으로부터의 수입은 상대적으로 부품소재에 집중되어 있는 모습

    을 보여주고 있음.

    ○ 대한국 수입 중 부품소재가 차지하는 비중은 2002년 72.2%에서

    78.6%로 6.4% 포인트가 증가해 부품소재산업의 수입 위상이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음을 보여 줌.

    ○ 대만 역시 2002년 76.1%에서 84.3%로 8.2% 포인트가 증가해

    부품소재산업으로 완전 특화해 나가고 있음.

    ○ 반면, 일본의 경우에는 부품소재의 수입 비중이 2002년 71.4%

    에서 2007년 69.9%로 1.5% 포인트 낮아져 완제품(주로 정밀기

    기)의 수입이 상대적으로 더 빨리 증가하고 있음을 나타냄.

    중국의 대한국, 대만, 일본 수입 중 부품소재 수입 비중

    단위 : %90.0

    80.0

    70.0

    60.0

    50.0

    40.0

    30.0

    20.0

    10.0

    02002

    71.4

    72.2

    76.1

    60.0

    2003

    71.1

    74.6

    77.9

    60.2

    2004

    70.1

    76.4

    81.0

    59.2

    2005

    70.6

    79.4

    81.8

    59.6

    2006

    71.1

    78.6

    83.8

    59.4

    2007

    69.9

    78.6

    84.3

    57.9

    일본

    한국

    대만

    중국

    자료 : KOTIS.

  • 46

    ○ 한편, 한국, 일본, 대만 3국이 중국 부품소재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02년 49.6%에서 2004년에는 50.0%로 정점을 기록하

    다가 이후 감소세로 전환되어 2007년에는 47.1%로 2.5% 포인

    트 감소

    - 국가별로는 한국이 동기간 11.7%에서 14.8%로 3.1% 포인트

    증가한 반면, 일본은 21.6%→ 16.9%로 4.7% 포인트, 대만은

    16.4%→ 15.4%로 1% 포인트씩 감소

    - 그러나 한국 역시 2005년을 정점으로 최근에는 감소세를 시현

    하고 있어 주의를 촉구

    ○ 지난 5년간 대일본 수입 비중이 줄어들면서 일본(16.9%), 대만

    한국, 대만, 일본의 중국 부품소재수입 점유율 추이

    60.0

    50.0

    40.0

    30.0

    20.0

    10.0

    02002

    21.6

    11.7

    16.4

    49.7

    2003

    21.2

    13.0

    15.5

    49.7

    2004

    19.9

    14.3

    15.8

    50.0

    2005

    18.0

    15.5

    15.5

    49.0

    2006

    17.5

    15.0

    15.5

    48.0

    2007

    16.9

    14.8

    15.4

    47.7

    일본

    한국

    대만

    소계

    단위 : %

    자료 : KOTIS.

  • Ⅲ. 중국의 대한국・일본・대만의 수입 위상과 경쟁구조 분석 47

    (15.4%), 한국(14.8%)의 중국 부품소재 수입 점유비중이 서로

    비슷해졌으며, 이에 따라 이들 국가간 경쟁도 갈수록 치열해질

    전망

    □ 부품소재산업에서 3국에 대한 적자 규모가 지속적으로 확대

    ○ 한편, 지난 5년간 중국은 한국, 일본, 대만의 부품소재산업에 대

    해 대규모 적자를 지속적으로 기록

    - 3개국에 대한 적자규모는 2002년 639억 달러에서 2007년에는

    1,767억 달러로 2.8배 증가

    - 2007년 기준으로 대만에 대한 적자액이 699억 달러로 가장 규

    모가 크고, 다음은 일본에 561억 달러, 한국에 507억 달러의 적

    자를 기록

    - 적자 규모가 대만, 일본, 한국 순으로 지난 5년간 순위 변화는

    없음.

    ○ 대만은 전체 무역흑자 규모가 부품소재 흑자 규모를 능가해 완

    제품과 부품소재 모두에서 대중국 흑자를 보이고 있음.

    - 반면, 한국과 일본은 부품소재 흑자 규모가 전체 흑자 규모보

    다 커 중국으로부터 완제품을 순수입하고 있는 상황

    ○ 중국의 부품소재산업 적자 규모가 2002년 563억 달러에서 2004

    년에는 881억 달러로 확대되었으나 이후 감소세로 전환되어

    2007년에는 467억 달러를 기록, 이는 중국의 부품소재산업이 빠

    른 속도로 국산화되고 있음을 의미

  • 48

    중국의 대한국・일본・대만 부품소재산업 무역수지 추이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억 달러

    2002

    -563

    -142

    -252

    -245

    2003

    -818

    -234

    -329

    -349

    2004

    -881

    -336

    -440

    -416

    2005

    -768

    -436

    -507

    -423

    2006

    -543

    -467

    593

    -492

    2007

    -467

    -507

    -699

    -561

    중국

    한국

    대만

    일본

    자료 : KOTIS.

    ○ 중국은 2007년 부품소재산업에서 한국, 대만, 일본을 제외한 여

    타 지역에 대해서 1,300억 달러의 흑자를 기록

    - 이는 동북아를 제외한 지역에서 중국 부품소재산업의 수출화

    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음을 의미

    2. 대중국 투자와 연계된 수입구조

    (1) 한국, 일본, 대만의 대중국 투자 추이와 특징

    ○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한국, 일본, 중국의 대중국 투자는

  • Ⅲ. 중국의 대한국・일본・대만의 수입 위상과 경쟁구조 분석 49

    투자시 중국에 반입된 기계설비를 비롯하여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부품소재 수입 등 대중국 수출을 유발

    - 따라서 중국의 대한국, 일본, 대만의 수입 특징을 비교 분석하

    기 위해서는 이들 3국의 대중국 투자와 수입의 연계 분석이

    필요

    - 이하에서는 3국의 대중국 투자와 수입 통계를 중국 상무부 발

    표 자료를 중심으로 분석

    ○ 2007년 말 누계 기준으로 중국의 외국인 직접투자 실제 도착액

    은 7,630억 달러, 설립허가기업 수는 63만 2,286개를 기록

    중국의 투자 유치 추이

    한국 일본 대만 중국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1998 1,309 1,803 1,198 3,400 2,970 2,915 19,799 45,463

    1999 1,547 1,275 1,167 2,973 2,499 2,599 16,918 40,319

    2000 2,565 1,490 1,614 2,916 3,108 2,296 22,347 40,715

    2001 2,909 2,152 2,019 4,348 4,214 2,980 26,140 46,878

    2002 4,008 2,721 2,745 4,190 4,853 3,971 34,171 52,743

    2003 4,920 4,489 3,254 5,054 4,495 3,377 41,081 53,505

    2004 5,625 6,248 3,454 5,452 4,002 3,117 43,664 60,630

    2005 6,115 5,168 3,269 6,530 3,907 2,152 44,001 60,325

    2006 4,262 3,993 2,590 4,759 3,752 2,230 41,473 65,821

    2007 3,452 3,678 1,974 3,589 3,299 1,774 37,871 74,768

    2008.1~8. 1,575 2,304 955 2,677 1,523 1,312 18,797 67,732

    자료 : 중국 상무부.

  • 50

    - 허가된 기업 중 33만 개의 외자업체가 가동 중인 것으로 추산

    되며(전체의 52%), 그 중 제조업체는 20만 개 정도(한국 제조

    업체수 11만 개)

    - 연간 매출액이 500만 위안(약 71만 달러) 이상인 중국 제조업

    체 수는 총 14만 4,399개이며, 이 중 외자기업이 2만 6,786개로

    전체의 18.5%를 차지

    □ 투자 건수에서는 대만이 1위

    ○ 동아시아 금융위기 이후인 1998~2007년까지 중국정부 허가 기

    준 3국의 대중국 투자 건수를 비교해보면 대만, 한국, 일본 순

    이며, 이들 3국이 중국 전체 투자 건수의 29.6%를 차지

    - 동 기간 대만은 3만 7,099건을 투자하여 중국 전체 외국인직

    접투자 건수의 11.3%를 차지하였으며, 한국은 3만 6,712건

    (11.2%), 일본은 2만 3,284건(7.1%)의 건수와 비중을 기록

    ○ 동아시아 금융위기 이후 3국의 투자 건수 비중 변화 추이를 살

    펴보면, 3국이 모두 연도별로 차이는 있지만 정점을 지나 하향

    세를 보임.

    - 투자 건수 점유 비중이 가장 먼저 하향세로 전환한 국가는 대

    만으로 1998년 15.0%에서 2001년에는 16.1%까지 상승하였으

    나 이후 감소세로 전환되어 2007년에는 8.7%로 낮아짐.

    - 다음은 일본으로 일본의 대중국 투자 건수 비중은 1998년

  • Ⅲ. 중국의 대한국・일본・대만의 수입 위상과 경쟁구조 분석 51

    한국, 일본, 대만의 대중국 투자 건수 비중 추이

    18.0

    16.0

    14.0

    12.0

    10.0

    8.0

    6.0

    4.0

    2.0

    01998

    6.6

    6.1

    15.0

    1999

    9.1

    6.9

    14.8

    2000

    11.5

    7.2

    13.9

    2001

    11.1

    7.7

    16.1

    2002

    11.7

    8.0

    14.2

    2003

    12.0

    7.9

    10.9

    2004

    12.9

    7.9

    10.9

    2005

    13.9

    7.4

    8.9

    2006

    10.3

    6.2

    9.0

    2007

    9.1

    5.2

    8.7

    한국

    일본

    대만

    단위 : %

    자료 : 중국 상무부.

    6.1%에서 2002년 8.0%로 상승하여 정점을 기록하다가 이후

    감소세로 전환되어 2007년에는 5.2%로 하락

    - 한국의 투자 건수 비중 정점은 2005년으로 3국 중 가장 늦었

    으며, 비중 변화 추이를 살펴보면 1998년 6.6%에서 2005년

    13.9%로 정점으로 보이다가 이후 하향세로 전환되어 2007년에

    는 9.1%를 기록

    ○ 2007년 한국의 투자 건수 비중은 일본이나 대만보다 높은 수치

    를 보이고 있으며, 2008년 8월말 기준 한국의 대중국 투자건수

    는 1,575건으로 대만의 1,523건이나, 일본의 955건보다 많음.

  • 52

    □ 3국의 대중국 건당 평균 투자액은 중국 평균보다 낮은

    수준

    ○ 1998~2007년까지 3국의 대중국 실제 투자액(도착 기준) 비중은

    19.2%로 동 기간 투자건수 비중 29.6%보다 크게 작아 3국의

    대중국 투자가 소규모로 진행되고 있음을 시사

    - 동 기간 투자금액 규모를 비교해보면, 일본이 432억 1,000만

    달러로 중국 전체 투자의 8%를 차지해 1위, 다음은 한국 330

    억 1,000만 달러(6.1%), 대만 274억 1,000만 달러(5.1%) 순

    - 건당 투자 규모를 비교해보면 일본이 186만 달러로 중국 전체

    평균치인 165만 달러를 약간 상회한 반면, 한국은 90만 달러,

    대만은 74만 달러로 중국 평균치를 크게 하회1)

    - 이는 한국과 대만 기업들의 대중국 투자형태가 노동집약형의

    소규모 가공무역 형태임을 짐작케 하며, 일본 역시 선진국임

    을 감안하면 대중국 투자가 자본집약적보다는 조립가공의 성

    격이 강함.

    ○ 투자 건수 비중과 마찬가지로 투자금액 비중 추이 역시 3국 모

    1) 여기서의 건당 투자규모는 투자금액을 투자건수로 나눈 것으로 정의상 문

    제가 있을 수 있음. 즉 중국정부가 발표하는 대중국 투건수는 허가 기준이

    고, 투자금액은 실제 도착액 기준이기 때문에 건당 투자규모를 추산하기가

    어려움. 그러나 1998~2007년간의 10년 기간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허가기준

    과 실제 도착액 기준 간의 격차가 상당히 완화되었으며, 3국에 같은 정의를

    적용했기 때문에 건당 투자금액의 정확한 산출은 불가능하지만 3국간 비교

    는 가능할 것으로 사료.

  • Ⅲ. 중국의 대한국・일본・대만의 수입 위상과 경쟁구조 분석 53

    두 정점을 지나 하향세를 보여주고 있음.

    - 일본의 대중 투자금액 비중(중국 전체 투자에서 차지하는 비

    중)은 1998년 7.5%에서 2005년에는 10.8%로 상승 추세를 나타

    내다가 2006년 7.2%, 2007년 4.8% 등 최근 급감하는 추세

    - 대만 투자 금액 비중 역시 2002년 7.5%를 정점으로 매년 뚜렷

    한 하향세를 보이고 있으며, 2007년 비중은 2.4%로 2002년의

    1/3에 불과

    - 한국 투자 금액 비중 역시 일본이나 대만과 유사한 양상을 보

    이고 있으며, 2004년 10.3%를 정점으로 하락세로 전환되어

    2007년에는 4.9%로 급락

    한국, 일본, 대만의 대중국 투자 금액 비중 추이

    12.0

    10.0

    8.0

    6.0

    4.0

    2.0

    01998

    4.0

    6.4

    7.5

    1999

    3.2

    6.4

    7.4

    2000

    3.7

    5.6

    7.2

    2001

    4.6

    6.4

    9.3

    2002

    5.2

    7.5

    7.9

    2003

    8.4

    6.3

    9.4

    2004

    10.3

    5.1

    9.0

    2005

    8.6

    3.6

    10.8

    2006

    6.1

    3.4

    7.2

    2007

    4.9

    24

    4.8

    한국

    대만

    일본

    단위 : %

    자료 : 중국 상무부.

  • 54

    ○ 2008년 8월말 기준, 한국의 대중국 투자 금액은 23.0억 달러로

    일본의 26억 8,000만 달러보다는 적으나, 대만의 13억 1,000만

    달러보다는 1.8배 많음.

    ○ 한국, 일본, 대만의 대중국 투자가 대중국 수출을 유발한다는

    관점에서 보면 대중국 투자 건수나 금액 비중의 하향세는 앞서

    분석한 이들 3국의 대중국 수입 점유 비중의 하향세와 상당히